[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현지 시간)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한국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한 가운데, 정부가 관세 조치로 인한 업종별 영향 점검에 나섰다.
|
 |
|
▲ 산업통상자원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
산업통상자원부는 4일과 7일 이틀에 걸쳐 가전·디스플레이, 기계, 이차전지, 석유화학, 섬유 등 5개 업종 주요 기업과 긴급 릴레이 대책회의를 연다고 밝혔다.
이들 5개 업종은 대미 수출 상위 업종 중 이번 미국 관세 조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업종이다. 이번 상호관세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철강, 자동차, 반도체, 바이오의약품 등은 제외됐다. 산업부는 주요 기업 및 협회 등과 함께 관세 조치에 따른 국내 업계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이날 진행된 가전·디스플레이, 기계 업종 대책회의에서 기업들은 미 관세조치로 인해 대미 수출 감소 등 직접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베트남, 태국 등 해외 생산기지에서 생산된 제품의 대미 수출 피해, 제3국 시장에서의 경쟁 격화 등을 우려했다. 또한 수출바우처, 긴급경영자금 등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이승렬 산업정책실장은 "업종별 상호관세 영향을 면밀히 분석해 우리 기업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번 미국 관세 조치를 계기로 우리 산업의 근본적인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정부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했다.
7일에는 이차전지, 석유화학, 섬유업종 대책회의가 열릴 예정이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