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소희 기자] 국립환경과학원은 국내 서식하는 생물종인 물벼룩(학명 Monia macrocopa, Ceriodaphnia dubia)이 국제표준화를 위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시험지침 작업반에서 공식 시험종으로 지정된다고 밝혔다.
|
 |
|
▲ 물벼룩 시험종./자료=환경과학원
|
OECD 시험지침 작업반은 1992년에 경제협력개발기구 화학물질생명공학위원회 산하에 설립돼, 독성과 물리화학적 성질 등 관련 시험지침의 개발·검증과 국제표준화를 관장한다.
환경과학원은 프랑스 불로뉴에서 1일부터 4일까지 열린 제37차 OECD 국가시험지침조정자 작업반회의(WNT)에서 해당 물벼룩을 화학물질 시험지침(Test guideline)의 공식 시험종으로 포함하는 사업제안서를 승인받았다.
국내 환경보호를 위해서는 국내에 서식하는 생물을 이용한 독성평가가 필요하나, 현재 OECD 시험지침의 시험종 물벼룩(Daphnia magna)은 북미, 서유럽 등의 지역에서 서식하는 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서식하지 않는다.
이번 국제표준 시험종 지정을 통해 만성독성 시험기간을 기존 대비 3분의 1수준(21일→7일)으로 단축할 수 있어 규제를 이행하는 산업체가 시험에 소요되는 자원·인력·비용 등을 절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사업은 현재 우리나라와 일본(국립환경연구소)이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향후 시험법 검증과 전문가 검토를 거쳐 2028년에 최종 시험지침으로 개정될 예정이다.
김수진 환경과학원 환경건강연구부장은 “이 사업은 그간 ‘한·일·중 화학물질 정책대화 및 전문가회의’를 통해 추진해 오던 사항”이라며, “지속적으로 국제 기준에 부합한 표준독성시험법 및 시험종을 발굴해 우리나라 환경에 적합한 생태독성 평가를 수행하겠다”라고 전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