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국 조선업 재건 및 중국 견제 행정명령에 서명
미국 조선업 재건에 동맹국인 국내 조선사 역할 기대
중국 견제에 선박 수요 국내 조선사로 몰릴 것으로 예상
[미디어펜=박준모 기자]국내 조선업계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조선업 관련 행정명령으로 인해 수혜가 기대된다. 또 미국 조선업 재건과 관련해서는 협력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조선업 견제 움직임으로 인해 선박 수주가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행정명령서를 보여주고 있다./사진=연한뉴스(로이터)


◆美 조선업 재건 본격화…“중국 독주 막는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미국 조선업을 재건하는 동시에 중국 조선업을 견제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미국 조선업 재건을 통해 선박 건조는 물론 미 해군의 군사 활동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그동안 트럼프 대통령의 자국의 조선업 재건에 대해 특별히 강조해왔다. 그는 백악관 내에 조선 사무국 설치하고, 조선업에 대한 특별 세제 혜택 제공 등을 약속하면서 미국 조선업을 부활시키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중국의 조선업을 견제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이번 행정명령에는 중국의 해양·물류·조선 부문에 대한 불공정 표적화 조사에 대한 조치를 미 무역대표부(USTR)에 지시하는 내용이 담겼다. 

USTR은 중국산 선박과 중국 선사의 국제 해상 운송 서비스에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번 행정명령으로 수수료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커졌다고 볼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 같은 행정명령을 내린 것은 중국의 해양 패권 저지를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 최근 조선 분야에서의 중국의 독주 체제가 두드러지고 있다. 지난해 중국의 글로벌 조선 시장 점유율은 50%를 넘어선 반면 반면 미국은 0.01%에 불과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우리는 조선에 많은 돈을 쓸 것”이라며 “우리는 아주 많이 뒤처져 있다. 예전엔 하루에 한 척의 배를 만들곤 했지만 사실상 지금은 1년에 한 척도 만들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 한화오션의 정비를 마친 미국 해군 군수지원함 ‘월리 쉬라’호가 출항하고 있다./사진=한화오션 제공


◆국내 조선업계, 트럼프 행정명령 ‘환영’…“기회 늘어날 것”

트럼프의 행정명령이 국내 조선업계에게는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먼저 미국의 조선업 재건과 관련해서 협력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미국 동맹국 중에 조선업 재건에 나설 수 있는 국가는 한국과 일본이 유력한데 건조 능력이나 노하우 등을 감안하면 한국이 가장 큰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8일 트럼프 대통령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총리와의 첫 전화 통화에서 한미 간 협력 분야로 조선을 언급하기도 했다. 

국내 조선사들도 미국과의 협력을 위해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한화오션은 미국 내 필리 조선소를 인수하고 현지 생산을 위한 준비를 마쳤다. 

HD현대도 미국 최대 방산 조선사인 헌팅턴 잉걸스, 미국 대표 방산 기자재 업체인 페어뱅크스 모스 디펜스와 협력 체계를 구축하며 미국 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또 양사는 미 해군 함정의 MRO(유지·보수·운영) 사업도 담당하면서 미국과의 협력 체계를 굳건하게 다지고 있다. 

중국의 견제 움직임으로 인해 국내 조선사들의 선박 발주 역시 기대된다. 이번 행정명령으로 미국 항구에 들어오는 중국 해운사 및 중국산 선박에 대한 수수료가 실제 부과될 경우 중국산 선박에 대한 수요를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대로 한국 조선사들에게는 일감이 더욱 몰릴 수 있어 선박 수주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미국이 중국 조선업 제재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는 만큼 중국산 선박에 대한 기피현상은 앞으로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 조선사들도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을 환영하는 분위기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이번 행정명령을 통해 미국이 조선업 재건에 본격 나선 만큼 한국 조선소와의 전략적 협력 가능성도 더욱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며 “한국 조선업은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과 축적된 노하우를 갖고 있어 미국과의 실질적인 협력 기회 확대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미디어펜=박준모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