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석원 문화미디어 전문기자] 오는 5월 18일은 5.18 광주민주화운동 45주년. 이 날을 기억하기 위해 대한민국의 봄날을 꿈꾸던 그날의 이야기를 그린 공연이 5월의 봄날에 찾아온다. 1980년 5월 광주에서 벌어진 5.18 민주화운동을 소재로 한 전문예술단체 극단 산의 대표 연극 '짬뽕'이 2025년 5월 1일부터 6월 1일까지 여행자극장에서 공연한다.
광주민주화운동은 민중으로부터 시작되고, 시민들에 의해 지켜져 왔다. 1980년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피 흘린 시민들의 저항 의식은 45년이 흘러 2025년 한국의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커다란 평화 시위의 물결로 이어졌다.
평범한 소시민들이 아주 작은 소망을 가지고 그저 살아가고자 했던, 오늘을 지키는 이야기. 대한민국의 봄날을 꿈꾸던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연극으로 만든 연극 '짬뽕'은 21년 전인 2004년 초연 이후 꾸준한 사랑을 받아왔다. 5.18 민주화운동을 블랙코미디 형식으로 접근한 최초의 연극이다.
|
 |
|
▲ 5.18을 기린 연극 '짬뽕'이 다시 무대에 오른다./사진=극단 산 제공 |
연극 '짬뽕'은 1980년 5월 17일, 한 중국집 ‘춘래원’에서 시작된다. 짬뽕 두 개, 짜장면 하나, 탕수육 하나가 담긴 배달 주문을 받은 배달원 ‘만식’은 음식을 들고 길을 나선다. 그러나 도중 군인들과 마주하게 되고, 군인들은 국가의 명령이라며 공짜로 음식을 요구한다. 이에 맞선 만식과 군인들 사이에 실랑이가 벌어지고, 급기야 총성이 울리며 상황은 긴박해진다. 그날 저녁, 방송에서는 광주에서 ‘폭도’들이 군인을 공격했다는 뉴스가 흘러나오고, 광주 도심은 서서히 혼란에 휩싸인다.
춘래원 식구들은 뉴스를 보고, 이 모든 사태가 '만식과 군인의 짬뽕 사건 때문'이라고 착각한다. 그들은 만식을 숨기고, 가게를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하지만, 사소한 오해가 눈덩이처럼 커지면서 모두가 예기치 못한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된다.
유쾌한 해프닝 속에서도, 점차 긴장감이 감돌기 시작하는 춘래원. 소시민들의 소박한 삶과 그들이 겪는 혼란을 통해, 연극은 5.18 민주화운동 당시 광주 시민들의 현실을 풍자적으로 그려낸다.
|
 |
|
▲ 연극 '짬뽕'의 포스터./사진=극단 산 제공 |
연극 '짬뽕'은 단순한 역사극이 아니다. 1980년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지만, 결국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을 비추는 거울과도 같다. 연극이 끝난 후 관객들은 단순히 5.18 민주화운동을 기억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오늘날 우리 사회가 얼마나 달라졌는지, 또는 여전히 같은 문제를 반복하고 있는지를 고민하게 될 것이다.
이번 공연은 극단 산의 윤정환 대표가 극작과 연출을 맡았으며 출연진으로는 김원해, 최재섭, 허동원, 김화영, 이원장, 김기남, 김경환, 이정근, 이진경, 이세영, 정유나, 박승일, 박배리, 강혁, 최현규, 이나경, 황준우, 여동훈, 한승탁 박서안 배우가 참여한다.
[미디어펜=이석원 문화미디어 전문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