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당규위 논의, 국민선거인단 없애려는 방향이란 제보”
[미디어펜=김소정 기자]더불어민주당의 대선후보 경선 방식을 정하기 위한 대선 특별당규준비위원회 논의가 이어지는 가운데 김동연 경기도지사측이 11일 “특별당규위 논의가 심각히 우려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면서 “국민경선 원칙을 파괴하는 결과가 나오면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김 지사 대리인인 고영인 전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대산빌딩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특별당규위 논의가) 국민선거인단을 없애려는 방향이라는 제보가 들어오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민주당 특별당규위는 당원과 일반국민 모두에게 1인 1표를 보장하는 ‘국민경선’ 방식과 일반국민 여론조사 50%·권리당원 투표 50%로 후보를 선출하는 ‘국민참여경선’ 방식을 놓고 논의 중이다. 

이와 관련해 일각에서 일반국민 비중을 높이면 권리당원의 권리가 제한되고, 역선택 우려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반면, 비명계 후보들은 권리당원 비중을 높이면 다른 후보들이 이 대표 대권가도에 들러리를 서게 되고 외연확장도 제한된다는 이유로 국민경선을 요구하고 있다. 앞서 민주당은 19대·20대 대선 때는 ‘국민경선’ 방식으로 경선을 치뤘다.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9일 인천공항 2터미널에서 제21대 대통령선거 출마 선언을 하고 있다. 2025.4.9./사진=연합뉴스

고영인 전 부지사는 “시간이 없고, 역선택이 우려된다는 막연한 구실로 국민경선을 파괴하려는 결과를 보인다면 김동연 캠프는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민주당 특별당규위는 국민을 못 믿느냐”고 지적했다. 또 “‘당직은 당원에게, 공직은 국민에게’라는 우리가 노무현·문재인 대통령을 만들어온 국민경선 원칙을 파괴하지 말아달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특별당규위를 향해 “후보측 대리인 논의 테이블을 마련해달라”고 요구하고, “특별당규위가 구성되면 당연히 (후보) 대리인에 연락해 논의 테이블을 만들 줄 알고 기다렸는데 아무 연락이 없었다. 시간이 없다며 (후보간 논의없이) 과거 룰을 적용하는 정도는 받아들일 수 있지만, 룰을 바꾸는데 후보측 의견수렴하지 않는 것은 후보간 유불리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국민경선 방식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불출마까지 고려하느냐는 질문에는 “출마 여부까지는 논의한 적 없다”면서도 “국민선거인단의 취지와 원칙을 무시했을 때 과연 이 경선이 무슨 의미 있느냐. 캠프 내부의 많은 사람들이 격앙돼 있다. 앞으로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심각하게 고민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앞서 김두관 전 의원측도 “민주당 지도부가 후보자들의 의견을 일체 듣지 않고 계속 불통한다면 ‘어대명 추대 경선’의 들러리로 나서는 것에 대해 깊이 고민할 수밖에 없다”고 밝힌 바 있다.

특별당규위는 전날에 이어 이날 오전부터 회의를 열어 경선 방식 논의를 이어오고 있다. 경선 규칙은 최고위원회의와 당무위원회의 등을 거친 뒤 12일 확정돼 발표된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