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특허청과 17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제3차 지식재산과 경제안보 포럼'을 공동 개최했다고 밝혔다.
|
 |
|
▲ 산업통상자원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
이번 포럼은 지난 1월 시작한 지식재산과 경제안보 시리즈 포럼의 마지막 회의다. 1차 포럼에서는 지식재산권과 통상 전략, 2차 포럼에서는 지식재산과 경제안보 전반을 논의한 데 이어 3차 포럼에서는 그간의 논의를 종합하고 지식재산 보호 체계를 활용한 경제안보 강화 방안을 심도 있게 모색했다.
이날 포럼에는 정부(산업부·특허청)와 학계, 로펌 및 유관기관 전문가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기술보호법 ▲지식재산 ▲특허빅데이터 ▲비밀특허제도 등을 활용한 기술보호 강화 방안을 주제로 전문가 발제와 자유토론이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최근 5년간 산업기술 유출 건수가 100여 건에 달하고, 경제적 피해 규모는 약 23조 원에 이르는 등 기술유출 위협이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국가 차원의 기술보호 체계 강화가 절실하다는 점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특히 지식재산 분야 전문가는 고급 기술정보 집약체인 특허빅데이터 활용 중요성을 강조했다. 국가핵심기술 지정·관리와 첨단기술 수출통제, 지식재산 규범 정립 등 분야에서 산업부의 법·제도 운영 경험과 특허청의 정보·분석 역량이 결합된다면 지식재산 보호 실효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은 "기술과 지식재산의 철저한 보호가 곧 경제안보를 강화하는 길"이라며 "앞으로 국가핵심기술 최신화와 기업·대학·연구소 등 국가핵심기술 보유기관 식별, 기술 유출 경로 파악 등에 특허정보를 적극 활용해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기술 보호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