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대규모 재난에 집중 투자 필수 비용 반영
산불 피해회복 및 장비 도입, 노후 하수관로정비 확대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환경부는 18일 국무회의에서 환경부 ‘필수 추가경정예산안’으로 1753억 원을 편성했다고 밝혔다.

산불, 싱크홀 등 대규모 재난에 대한 피해 복구와 장비 도입 및 노후 정비 예산 등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필수 경비 위주로 편성했다.

   
▲ 2025년도 환경부 소관 추가경정예산안 편성내역./자료=환경부


우선 신속한 산불 피해복구를 위해 재해대책비를 1120억 원 증액했다. 

이는 올해 본예산(350억 원) 대비 3배 이상 추가 편성한 것으로, 영남지역 8개 시·군을 대상으로 산불 피해를 입은 주택·농업시설 및 공장의 재난폐기물 처리비용을 전액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피해지역 주민들의 빠른 일상 회복 지원과 방치된 폐기물로 인한 2차 환경오염을 방지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국립공원의 산불 초동 대응 강화를 위해 77억 원을 추가로 편성했다.

유사시 산불 진화에 투입되는 노후 헬기 1대를 교체하고, 고성능 산불진화차량 2대를 추가로 도입해 기존 4대를 포함 총 6대를 권역별로 배치할 예정이다. 이 같은 장비 확충을 통해 국립공원공단이 산불 초기진화와 확산 방지에 적기 대응하도록 할 방침이다.

최근 잦은 싱크홀 피해 예방을 위해 노후 하수관로 정비 예산을 전년 대비 약 2배 확대했다. 

특히 긴급을 요하는 서울시에도 하수관로 정비 예산 51억 원을 신규로 편성했다. 이번 추경으로 서울시는 2021년부터 2023년까지 하수도와 관련해 지반침하가 발생한 27개 지역 내 노후·불량 관로 정비를 조기 착수할 계획이다.

올해 환경부 필수 추가경정예산안은 향후 국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