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조치에 따라 정부가 전방위적으로 수출 기업 관세 애로 해소 지원책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최근 두 달 만에 3000여 건의 이상의 상담이 이뤄진 것으로 집계됐다.
|
 |
|
▲ 산업통상자원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
22일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 따르면 관세 애로 접수 통합창구 '관세 대응 119'를 통해 이달 18일까지 총 3022건의 관세 상담 문의가 접수됐다.
두 기관은 지난 2월 18일 발표한 범부처 비상수출대책 일환으로 관세 대응 119와 찾아가는 관세 대응 설명회 등을 통해 전방위적으로 기업의 관세 애로 해소를 지원하고 있다.
기업들이 질문한 구체적인 상담 내역 중 ▲관세 관련 문의 68% ▲대체시장 진출 7% ▲생산 거점 이전 4% ▲기타(인증, 규격 등) 21%로 관세 관련 문의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미국 신 정부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 확대에 따라 기업들은 품목별·상호관세 대상 여부와 관세율 확인을 집중적으로 문의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이달 초 미국 상호관세 발표 및 유예 발표 시점에는 하루 200건 이상의 상담이 쇄도했다.
상담 창구에서는 대미 무역 경험이 30년 이상인 수출 전문 위원들이 직접 품목별·상호관세 대상 여부와 관세율 등을 알려주고 있다. 아울러 기업들이 온라인으로 직접 미국 관세율 확인이 가능한 온라인 관세 확인 시스템을 안내하고 있다. 지난달 25일 운영을 개시한 해당 시스템의 일 평균 방문 건수는 2000여 건으로 집계됐다.
필요한 경우에는 해외 무역관과 연계해 심층상담을 지원하고, 관세 대응 바우처 등 관련 지원사업도 안내한다.
이와 함께 실시간 정보 접근이 어려운 기업들의 정보 애로 해소를 위해 지난달부터 전국 주요 지역을 직접 찾아가는 관세 대응 설명회를 30여 회 열었다. 설명회에는 누적 3000여 명 이상이 참석해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대체시장 발굴과 해외 생산거점 이전 등 기업별 궁금한 사항에 대한 1대1 개별상담을 진행했다.
산업부와 코트라는 우리 진출기업이 많은 베트남 등 현지에서도 다음 달 중 관세 대응 설명회를 열 예정이다. 또 매주 코트라에서 통상환경 비상대응 정기 설명회를 여러 기업들의 정보 애로 해소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관세 대응 119 상담기업을 관세 대응 바우처 사업으로 적극 연계하고, 중소벤처기업부와 특허청 등 유관기관 관세 대응 지원사업을 포괄하는 '관세 대응 지원사업 메뉴판'을 작성해 관세 애로 기업을 보다 내실 있게 지원할 방침"이라고 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