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의원들, 한덕수 대행의 권한 행사가 제한되어야 한다고 지적
“관세 유예기간 흘러가…아무것도 안하면 차기 정부 더 힘들어질 수도”
[미디어펜=김소정 기자]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23일 한미 방위비 분담금 문제는 이번 한미 관세 협의인 경제·통상 수장 2+2 협상의 대상이 아니라고 밝혔다.

조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태호 국민의힘 의원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말한 ‘패키지 딜’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방위비 문제는 별도 트랙으로 해야할 사항이라고 본다”며 이같이 말했다. 

조 장관은 또 지난 16일 워싱턴에서 열린 한일 간 협상 때 트럼프 대통령이 아자카이 료세이 일본 경제재생상을 직접 만난 것처럼 한국 협상단을 만날 수 있을지를 묻는 질문엔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다.

다만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협의) 자리에 직접 나올지는 아직 모르겠다. (트럼프 대통령이) 참석해서 (패키지 딜) 얘기를 거론할 수는 있겠지만 우리는 일단 미국의 이야기를 청취한다는 기조로 대응하기로 돼있다”고 설명했다.

오는 24일(현지시간)로 예정된 한미 2+2 통상 협의에 우리측에선 최상목 경제부총리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측에선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각각 참석할 예정이다.

   
▲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23일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상덕 제외동포청장, 김영호 통일부 장관, 조태열 외교부 장관. 2025.4.23./사진=연합뉴스

이와 함께 이날 외통위 더불어민주당 의원들 다수가 이번 한미 간 협상에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권한이 제한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 장관은 이재강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에서 서두르지 말고 차분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지적에 “협상의 속도, 마무리 시점에 대해 미리 예단하고 싶진 않다”며 “협상이 서로에게 윈윈(win-win)할 수 있는 방향으로 흘러간다면 그것(빠른 종결)도 가능한 것이겠지만 서둘러서 할 생각은 없다”고 답했다.

이어 “일단 저쪽에서 요청이 있으니까 가서 얘기를 들어보고 거기에 대한 저희의 예비적인 의견을 제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차지호 민주당 의원은 “외교·안보 영역에선 권한대행의 권한 행사가 제한돼야 하는 게 아니냐”며 외교장관의 의견을 물었고, 이에 조 장관은 “제한적으로 (권한 행사를)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아무것도 안 하고 가면 아마 차기 정부가 더 힘들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조 장관은 “아직 대통령선거까지 40여일이 남았고 미국의 관세 유예기간이 70여 일 남아 있다. 그 기간을 어떻게 활용할 것이냐 하는 것도 협상 전략의 중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