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구태경 기자] 해양수산부가 GPS 오차를 현재 10m에서 5cm로 대폭 줄이는 데 성공하면서 위성정보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이로써 스마트 항만과 자율운항 선박은 물론 자율주행 자동차, 농업용 드론 등 육상 모빌리티 산업에도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
 |
|
▲ 위치정보시스템 상용화 및 고도화 전략 인포그래픽./사진=해양수산부 |
해수부는 첨단 모빌리티와 해양정보 산업화를 지원하기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해양 항행정보시스템 혁신 전략’을 마련해 24일,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발표했다.
그간 선박의 안전항해를 지원하기 위해 설치한 등대와 해상 등부표 등항행정보시설은 불빛과 형상 등의 아날로그 방식으로 항행정보를 전달해 왔는데, 최근 선박의 항해장비가 발달함에 따라 디지털화된 항행정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특히, 자율운항선박, 자율주행차, 드론 등 첨단 모빌리티의 출현으로 고정밀 위치정보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해양안전, 기후변화 대응 등을 위한 해양 빅데이터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어 해양 데이터 수집을 위한 기반 구축 필요성도 증대되고 있다.
이에 해수부는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 첨단 모빌리티 산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해상에 설치된 1800여 기의 등부표 등 해양 인프라가 수집·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해양정보 산업화를 지원하는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이번 전략을 마련한 것.
|
 |
|
▲ 해양 항행정보시설 기능 및 서비스 제고 인포그래픽./사진=해수부 |
이번 전략 보고서는 ‘초연결 항행정보로 편리하고 안전한 바다 실현’을 비전으로 3대 추진전략과 9개 정책과제를 제시한다. 동 전략을 통해 위치정보로 대표되는 항행정보의 활용 범위를 선박에서 육상의 첨단 모빌리티까지 확대해 현재 7만 명 규모의 항행정보시스템 이용자를 2029년에는 약 110만 명 규모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또 해양정보를 활용하는 산업의 시장규모도 현재 21조 원 규모에서 2029년에는 27조 원 규모로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이번에 발표된 ‘해양 항행정보시스템 혁신 전략’에는 디지털 시대에 맞춰 항행정보시설을 고정밀 위치정보와 다양한 해양정보를 제공하는 항행정보분야의 핵심 시설로 자리매김시키기 위한 비전을 담고 있다”며 “우리 국민이 더욱 안전하게 바다를 이용하고 나아가 첨단화된 일상을 경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