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준희 기자]한국과 미국이 오는 7월 초까지 미국 관세 부과 폐지 및 양국 간 산업협력 등 관련 ‘패키지 합의’를 추진하기로 했다.
|
 |
|
▲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 두 번째)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 끝)과 함께 24일(현지시간) 미국 재무부에서 열린 '한-미 2+2 통상협의'에 참석, 스콧 베센트 미국재무장관(오른쪽 두 번째),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회의 시작에 앞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사진=기획재정부 |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스콧 베센트 미 재무부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를 만나 ‘2+2 통상 협의’을 갖고 이 같이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의는 양국 재무·통상 분야 장관이 참석해 미국 관세정책과 관련한 양측 관심사와 입장을 확인하고 향후 협의 방안 등을 논의하는 최초의 당국 간 회의다.
최 부총리는 미국이 부과한 상호관세와 품목별 관세에 대한 우리 국민들의 우려를 전달하고 한국은 미국이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양국 모두에 이득이 되는 상호호혜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해나가자고 제안했다.
또 최 부총리는 한국의 현 상황 등 제반 상황을 감안할 때 차분하고 질서 있는 협의가 필요함을 미국 측에 설명했다.
최 부총리는 브리핑을 통해 “저희 측은 미국 상호관세 유예가 종료되는 7월 8일 이전까지 관세 폐지를 목적으로 한 ‘7월 패키지’를 마련할 것과 양측 관심사인 관세·비관세조치, 경제안보, 투자협력, 통화(환율)정책 등 4개 분야를 중심으로 논의해나간다는 데 (양측의)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말했다.
이어 “저희 측은 한국 정치 일정과 통상 관련 법령, 국회와 협력 필요성 등 앞으로 협의에 있어 다양한 고려사항이 있음을 설명하고 이에 대한 미측의 이해를 요청했다”고 덧붙였다.
최 부총리는 “협의의 출발점인 오늘 2+2 회의를 통해 협의 과제를 좁히고 논의 일정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협의의 기본 틀이 마련된 것으로 평가한다”며 “저희 경제에 부정적 효과가 가장 큰 자동차 분야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했다”고 전했다.
안 장관은 지속 가능하고 균형감 있는 한미 간 교역과 한국의 에너지 안보 제고, 미국의 조선업 재건을 위한 양국의 상호 기여 방안 등을 제안하며 한국에 대한 상호 및 품목별 관세 조치 면제를 요청했다.
이번 협의는 첫 번째 공식 협의로서 우호적인 분위기에서 진행됐다고 기재부 측은 전했다. 양국은 앞으로 실무회의와 추가적인 고위급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미디어펜=김준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