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피해액 3116억…'기관 사칭형 범죄' 절반 이상
[미디어펜=김준희 기자]올해 보이스피싱 전체 피해액이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보이스피싱 악성앱 제어서버 관리자 페이지./사진=연합뉴스(경찰청 제공)


27일 연합뉴스가 경찰청을 인용한 보도에 따르면 올해 1~3월 보이스피싱 범죄는 5878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 늘었다.

특히 전체 피해액은 3116억 원, 건당 피해액은 5301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2배, 2.8배 증가했다.

전체의 절반 이상은 기관 사칭형 범죄로 2991건(51%)을 기록했다. 상대적으로 디지털 수법에 취약한 50대 이상 피해자 비중도 53%로 절반을 넘었다. 50대 이상 피해자는 지난 2023년 32%, 지난해 47%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경찰청은 “카드 배송이나 사건조회, 대출신청 같이 피해자에게 접근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본격적 시나리오는 휴대전화 악성 애플리케이션(앱) 설치로 시작된다”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하는 방식은 다양하다. 명의도용 사건에 연루된 것처럼 속여 신규 휴대전화를 구매하게 한 뒤 검열이 필요하다며 원격 제어가 가능한 악성 앱을 설치하는 방식이 대표적이다.

또 본인이 신청하지 않은 카드가 배송돼 문의할 경우 명의도용이 의심된다며 소비자보호원에 신고하도록 안내한 뒤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하는 방식도 있다.

경찰청이 실제 악성 앱 서버를 분석한 결과 이들은 정교하게 구성된 가짜 페이지를 이용해 피해자의 이름, 전화번호, 휴대전화 기종, 통신사 등 기본 정보를 비롯해 통화내용 녹음, 원격제어 및 피해자 실시간 위치정보까지 확인했다.

금융감독원, 검찰, 경찰 등이 실제 사용 중인 전화번호 80여개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자가 해당 번호로 전화를 걸면 범죄조직이 쓰는 번호로 연결되거나 범죄조직이 발신한 전화가 피해자 휴대전화에 기관 번호로 표시되게 조작한 것이다.

경찰청은 주의해야 할 키워드로 △사건조회 △특급보안·엠바고 △약식조사·보호관찰 △자산검수·자산이전 △감상문 제출 등을 소개하며 수사기관이 요구하지 않는 사항이라고 강조했다.
[미디어펜=김준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