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전기차 등록대수 올해 5만대 돌파 예상
'디 올 뉴 넥쏘' 출시로 보급 가속화 전망
충전소 확충·수소 공급망 국가 차원 관리 필요
[미디어펜=김연지 기자]국내 수소전기차 누적 보급대수가 3월 말 기준 3만9216대로 4만대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올해는 승용 수소전기차 신모델 출시와 함께 국내 수소전기차 누적 등록대수가 올해 5만대를 넘어설 전망이다.

국내 수소전기차는 2018년 승용 수소전기차인 '넥쏘' 출시 이후 본격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해 2020년에 누적 보급대수 1만 대를 넘어섰고, 이후 2023년에 3만 대를 돌파하는 등 보급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이 같은 속도에는 수소전기차 전용모델로 개발된 '넥쏘'의 영향이 컸다. 특히 올해는 '디 올 뉴 넥쏘' 출시와 함께 환경부가 승용차 1만1000대, 수소버스 2000대에 대해 7218억 원의 구매 보조금을 확정함에 따라 수소전기차 보급은 5만 대를 넘어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수소전기차 5만 대 시대에 걸맞은 국가 및 지자체 차원의 관리와 지원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 국내 수소전기차 누적 보급대수가 3월 말 기준 3만9216대로 4만대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사진=현대차그룹 제공


전국에 설치된 수소충전소는 4월 말 기준 총 218개소다. 지역별로는 경기가 38개소로 가장 많았고, 경남 23개소, 충북 22개소 순이다. 서울에는 여의도, 서소문청사, 양재동, 상일동, 마곡동 등 9곳이 있다. 일부 도심 충전소는 이용자들의 충전 대기시간을 줄이기 위해 예약제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수소공급망 관리도 수소전기차 5만대 시대를 앞두고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 국내 수소 유통망은 산업부와 한국석유관리원, 한국가스공사 등이 나눠서 담당하고 있지만, 공급과 가격을 일괄적으로 관리하는 전담 기관은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수소에너지 공급망 안정화가 이뤄지지 않으면 외부 충격에 따른 공급 불안정성과 수소 가격 급등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산업계 관계자는 "수소전기차가 5만대를 넘어 대중화 단계에 돌입하려면 구매 보조금은 물론 충전 인프라와 수소 가격 등 이용자의 총보유 비용 관점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중장기 목표와 안목을 가지고 수소 공급과 가격 관리를 일원화하고, 체계적인 대응을 위한 국가 차원의 수소에너지 전담 기관 신설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연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