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류준현 기자] 최근 SKT 유심정보 유출 사고로 명의도용에 따른 금융사고 우려가 확산되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30일 비상대응회의를 주재한다.
|
 |
|
▲ 최근 SKT 유심정보 유출 사고로 명의도용에 따른 금융사고 우려가 확산되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30일 비상대응회의를 주재한다./사진=금융위원회 제공 |
29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지난 24일 발생한 SKT 유심정보 유출 사고와 관련해 유심 복제 등을 통한 부정 금융거래 등 2차 피해 우려를 의식해 금융권에 이상금융거래 모니터링 강화 등을 취하도록 유의사항을 전파했다. 이에 당국과 금융권은 해킹에 따른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유의사항 전파 △안심차단서비스 가입 안내 △금융사고 신고 센터 및 비상대응반 운영 등의 노력을 펼치고 있다.
아울러 내일 오전에는 금융위 사무처장 주재로 비상대응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회의에는 금융위 외에도 금감원, 금융보안원, 각 금융협회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
당국은 모니터링을 강화할 것이라면서도, 불안한 국민들을 위해 '비대면 계좌개설·여신거래 안심차단서비스' 가입을 독려했다. 금융권은 금융사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모든 금융기관의 비대면 계좌계설 및 대출 실행을 일괄 차단할 수 있다.
실제 SKT 해킹사고 이후, 금융사기 위험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려는 소비자도 늘고 있다. 대표적으로 안심차단서비스 가입신청이 급증했는데, 해킹사고 이후 일주일 간(22~28일) 비대면 계좌개설 안심차단은 약 35만명, 여신거래 안심차단은 약 45만명의 소비자가 각각 서비스를 신청했다. 특히 서비스 신청자 중 40대 이하 비중은 약 65%에 달한다.
당국 관계자는 "해킹 관련 금융사고 신고센터 및 비상대응반 설치·운영 등을 통해 소비자 피해 예방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금융당국과 금융회사는 해킹으로 발생할 수 있는 금융사고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다각적으로 노력하고 있다"며 "국민 여러분께서는 과도한 우려나 불필요한 오해를 지양해 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피해 발생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는 만큼, 금융당국과 금융회사의 유의사항 안내와 필요한 조치를 따라 주시기 바란다"며 "이러한 상황을 악용해 보이스피싱 등 범죄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각별히 유의해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