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농림축산식품부가 올해 청년 농촌보금자리조성 사업지구로 강원 화천군, 충북 영동군, 충남 당진시, 전남 함평군 등 4곳을 추가 선정했다.
|
 |
|
▲ 정부세종청사 농림축산식품부 전경./사진=농식품부 |
청년 농촌보금자리조성 사업지구는 1차로 지난 1월 충북 제천, 전북 장수, 전남 무안·신안, 경북 포항·고령 등 6곳을 선정한 바 있으며 이번 4곳을 추가로 선정해 총 10개 지구 선정이 완료됐다.
이 사업은 귀농·귀촌 청년들의 주거·보육 부담을 완화하고, 생활여건을 개선해 안정적인 농촌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2019년부터 추진했다. 지구별 30곳 내외의 단독주택형 임대주택단지를 조성하고 단지 내에 공동보육시설 및 문화·여가 커뮤니티시설 1개 동을 설치하게 된다.
사업지구는 △영농 일자리와의 연계성 △교육·문화·복지시설 등과의 접근성 △임대주택·공동이용시설의 운영·관리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선정하며, 선정되면 지구당 총 100억 원(국비 50억 원)을 3년간 지원한다.
앞서 2019년 시범사업으로 조성된 4개 지구(괴산·서천·고흥·상주)의 청년 입주민·지역사회 주민들의 만족도가 굉장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 입주민은 귀농·귀촌자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 주택정보 제공·자금 지원 등이 1순위(38.7%)와 3순위(13.5%)일 정도로 귀농할 때 가장 고민이었던 주거문제가 보금자리 입주로 해결돼 귀농에 긍정적인 영향(4.24/5점, 2022년 12월 입주민 설문조사 결과)을 미치고 있다고 했다.
또한 폐교 위기를 걱정하던 보금자리 단지 인근 주민들은 보금자리 입주세대 아동들의 취학으로 초등학교가 유지되는 등 마을에 활력이 생겼다고 평가하고 있다.
올해는 이 같은 귀농·귀촌 청년층과 지역사회 요구를 반영해 전년 대비 2곳을 늘려 10곳을 선정했다.
이번 추가 선정된 4곳은 각 시·군별 특색과 지역 청년들 의견을 반영해 계획됐으며, 주거 공간뿐만 아니라 육아나눔, 공동체 활동 등이 가능한 공유공간 조성과 연계 프로그램 추진 등을 통해 정착 이후의 보육, 문화·여가 활동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각 사업지구는 읍·면 소재지 인근에 위치해 초등학교, 문화·복지센터 등 생활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어 정주 편의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박성우 농식품부 농촌정책국장은 “농촌소멸 위기에 청년층의 농촌 유입과 정착이 중요한 상황에서, 청년 농촌 보금자리사업이 귀농·귀촌 청년층에게 양호한 주거 인프라를 제공함으로써 농촌에 새로운 활력을 일으키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