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승규 기자] 우리나라 중학생의 교우관계와 자주성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중 꼴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업성취도는 최상위권 수준을 기록했다.
|
 |
|
▲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교육관계와 자주성이 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
5일 교육계에 따르면 KEDI(한국교육개발원)은 최근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2022 데이터를 기반으로 OECD 37개국 15세 청소년의 인문교양 교육 수준을 분석한 '중등학교 인문교양 수준의 국제 비교 결과'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 집계된 한국 학생 학업 성취도는 △수학 2위 △과학 2위 △국어(읽기) 3위 △인문교양 수준 5위 △창의적 사고 9위 △사고표현 11위 등이다.
하지만 관계 형성 영역에서 부모와의 관계는 12위로 떨어졌고, 교우관계는 36위를 기록하며 최하위권에 자리 잡았다. 다만 교사와의 관계는 1위를 기록했다.
협업 영역에서는 신뢰 2위, 공감 12위, 협력 26위를 기록했다. 감정조절 영역은 감정표현 12위, 회복탄력성 19위 등 다소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 밖에 순위는 △주체성 20위 △자주성 33위 △일상생활 27위 여가생활 36위 △진로탐색 29위 등이다.
보고서는 "우리나라 학생들은 학업 성취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나 관계 형성과 주체적 자아실현에 있어서는 매우 낮은 수준"이라며 "청소년 기가 발달의 중요한 기반을 형성하는 시기인 만큼 학교 교육과정과 자연스럽게 연계해 자신과 사회와 세계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며 자율성과 존엄성을 체화할 기회가 폭넓게 제공돼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미디어펜=이승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