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연 3000GWh의 청정수소와 1300GWh의 일반수소 등 올해 수소발전 입찰시장을 개설했다고 9일 밝혔다.

   
▲ 산업통상자원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수소발전 입찰시장은 수소 또는 수소화합물을 발전 연료로 사용해 생산된 전기를 구매·공급하는 제도다. 사용 연료에 따라 청정수소발전과 일반수소발전으로 구분되며,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에는 국내 청정수소 인증기준(수소 1㎏당 온실가스 배출량 4㎏CO2e 이하)을 충족한 연료를 사용하는 발전설비만 참여 가능하다.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은 무탄소연료인 청정수소 활용 발전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을 목적으로 한다. 올해 개설물량은 연 3000GWh, 거래기간은 15년이다. 이는 85만 가구의 전력 사용량에 달한다. 실제 발전은 사업 준비기간(3년, 제도 초기임을 고려해 1년 유예 부여)을 거쳐 2029년까지 개시해야 한다. 최종 낙찰자는 가격 지표와 청정수소 활용 등급, 연료 도입 안정성, 산업·경제 기여도 등 비가격 지표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11월경 선정한다.

올해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에서는 업계에서 지속적으로 요청해 왔던 환율연계 정산제도와 물량 차입제도 등이 신규 도입된다. 그간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은 원화 고정가격으로 정산돼 원·달러 환율 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사업자가 부담하는 구조였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환율과 연계된 발전단가는 정산시점 환율을 반영해 정산함으로써 환율 변동에 따른 사업 리스크가 완화될 전망이다. 

또한 기존 물량 이월제도에 더해 차년도 물량을 앞당겨 발전할 수 있는 물량 차입제도를 추가 도입해 계획 예방 정비 등 불가피한 사유로 계약 발전량을 충족하지 못하는 상황에 대해 보다 유연한 대응을 가능토록 했다. 

일반수소발전 입찰시장은 분산형 전원으로의 설치 촉진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올해 입찰물량은 연 1300GWh, 거래기간은 20년이다. 실제 발전은 사업 준비기간(2년)을 거쳐 2027년까지 개시해야 한다. 최종 낙찰자는 가격 지표와 전력계통 영향, 산업·경제 기여도 등 비가격 지표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8월경 선정할 계획이다.

입찰공고문 등 상세한 사항은 전력거래소의 수소발전입찰시장 사이트를 참고하면 된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