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소희 기자] 콩 산업 발전을 위해 농업인과 농업경영체, 생산자단체가 자조금의 효율적인 조성·운용과 자금의 공정한 분담, 소비 촉진, 소득 안정 등의 논의를 시작했다.
|
 |
|
▲ 생산 국산 콩./자료사진=농식품부 |
농림축산식품부는 콩 산업 발전을 위해 논콩 의무자조금 설치 논의를 위한 킥오프 회의를 20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지난해 11월에 출범한 논콩임의자조금의 의무자조금 전환을 위해 콩 생산자단체인 (사)한국들녘경영체중앙연합회, (사)국산콩생산자연합회, 농협중앙회와 지자체 등이 참석해 그간의 자조금 추진경과와 운영 방안, 의무자조금 설치준비위원회 구성 등에 대해 토론한다.
논콩자조금은 콩 관련 농산업자가 납부한 자금으로 조성되며, 농산업자와 소비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콩 산업 및 국가 경제의 안정적 발전과 콩 생산자의 소득안정망을 구축 등을 목적으로 운영된다.
논콩 의무자조금을 도입하면, 콩 관련 농산업 주체들이 자조적으로 조성한 재원을 활용해 콩의 경쟁력 제고, 수급안정, 소비촉진·홍보, 조사·연구사업 등을 추진해 농산업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이익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장수용 한국논콩자조회 회장은 “콩의 소비 촉진과 품질 향상, 자율적인 수급 조절을 목표로 콩 산업의 생산성과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앞장서겠다”며 “향후 자조금 범위를 논콩에서 밭콩까지 확대할 것”이라고 의지를 밝혔다.
변상문 농식품부 식량정책관은 "이번 회의를 통해 각 구성원 간 협의를 바탕으로 의무자조금 전환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생산자의 자율적인 수급관리, 시장 경쟁력 강화 등을 위해 논콩 재배 농업인들을 비롯한 농협과 생산자단체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을 강조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