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소희 기자] 정부가 여름철 녹조에 대응하기 위해 녹조대응상황반과 유역별 현장대응반을 구성하고 유역별 상황 점검과 대응체계 구축에 나섰다.
기상청에 따르면, 올여름 기온은 평년보다 높은 데다 강수량은 6월에 비교적 많고 7~8월에는 비슷할 것으로 전망돼, 녹조 오염원 관리가 더 중요해졌다.
|
 |
|
▲ 녹조 대응설비 가동./자료사진=수자원공사 |
특히 지난 3월 발생한 영남지역 대규모 산불로 인한 산불잔재물 등 녹조 원인물질이 하천에 유입되지 않도록 임하댐·남강댐 주변과 하천유입부를 철저히 관리할 방침이다.
환경부는 ‘2025년 녹조 중점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사전 예방으로는 주요 오염원을 집중관리하고, 사후 대응으로는 녹조 제거 강화를, 관리체계로는 모니터링 강화와 중장기 계획 마련 등 3대 부문 10대 추진과제를 수립했다.
우선 사전 주요 오염원 관리로 토지계 오염원, 가축분뇨, 개인하수 집중관리, 녹조 중점관리지역 지정·관리에 집중한다.
수질오염원인 야적퇴비와 가축분뇨 관리를 강화하고, 인공습지 등 비점저감 시설을 확충·개량, 전국 주요 수계 대상 관리지역 전면 확대, 축분처리 다변화를 위한 고체연료 제조·바이오가스 생산시설 확충, 마을하수 저류시설 설치 시범사업, 정화조 공공관리, 산불 발생지 임하·남강댐 권역 중점관리지역 신규 지정 등을 추진한다.
녹조가 발생했을 때 사후 대응으로는 신속한 녹조 제거와 취·정수 관리를 강화한다.
토사 및 산불잔재물 유입을 차단할 오탁방지막을 주요 하천 지점에 설치하고, 녹조 발생빈도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녹조제거선 7대 신규 배치(총 35대 활용), 수상퇴치밭 설치 등 녹조제거 설비를 최대한 확대한다.
동시에 물순환을 강화해 녹조를 제거하거나 녹조 세포를 직접 분해·제거하는 기술 등 다양한 녹조제거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효과를 분석할 예정이다. 또 영양염류 유입 최소화, 댐·보·하굿둑 연계 운영을 통해 녹조류 제거와 특히 낙동강의 경우 일람표를 활용해 방류시간을 앞당기는 시범사업도 실시한다.
관리체계로 대응체계와 녹조 발생지역과 산불지역 등 모니터링을 확대·강화한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을 활용, AI 조류발생 예보가 적용되는 조류경보제 지점을 41개로, 친수 구간 조류경보제 시행 지점도 8곳으로 늘리며 조류발생 예측 정확도를 끌어올린다.
새롭게 비점오염원 종합대책 수립과 국가 가축분뇨 관리 방향을 설정하는 ‘국가가축분뇨종합계획’ 수립 근거도 마련한다.
또한 양분관리계획 시범 수립 지자체를 확대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지자체 계획수립 매뉴얼도 연내 마련할 계획이다.
조희송 환경부 물환경정책관은 “기후변화와 산불이라는 자연재해로 녹조관리가 쉽지 않은 여건이 지속되고 있다”라면서, “녹조발생에 대한 사전 예방과 대응을 철저히 해 국민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