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연지 기자]김동연 경기도지사의 핵심 공약사업으로 추진되던 경기국제공항 유치가 도의회에서 제동에 걸렸다. 경기도의회 일부 의원들이 "수요예측이 부실하고 실효성이 낮다"며 지원조례 폐지안을 발의하면서 경기국제공항 추진 사업이 중대 기로에 섰다.
7일 경기도의회에 따르면 유호준(더불어민주당·남양주6) 의원을 비롯한 도의원 10명이 '경기도 국제공항 유치 및 건설 촉진 지원 조례 폐지 조례안'을 공동 발의했다. 이번 조례안은 10일부터 27일까지 열리는 도의회 정례회에서 심의될 예정이다.
|
 |
|
▲ 경기국제공항 3개 후보지./사진=경기도 제공 |
지난 2023년 6월 제정된 경기도 국제공항 유치 및 건설 촉진 지원 조례는 도지사가 경기국제공항 유치를 위해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한 것이지만, 이번 폐지안 발의로 존속 여부가 도마 위에 올랐다.
유 의원은 "국제공항 수요예측 과정에서 탄소세 도입 등에 따라 예상되는 운임 인상으로 인한 수요 감소가 반영되지 않았고, 무안공항 참사 등 항공 안전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커지는 등 경제·사회적 환경변화 및 국가 항공 정책과의 조화 등을 고려할 때 해당 조례의 실효성이 현저히 낮아졌다"고 주장했다.
이어 "조례를 폐지해 경기도 행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불필요한 행정 절차와 예산 집행을 방지해 타당성 있는 사업에 행정력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조례안이 상정될 건설교통위원회 소속 허원 위원장(국민의힘·이천2)은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집에서 경기국제공항은 찾아볼 수 없고 오히려 경쟁 공항이 될 수 있는 청주국제공항 활성화를 약속했다"며 "이런 점을 감안해 조례안 상정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반면 경기국제공항은 경기 남부권 첨단산업 항공물류 수요와 수도권 공항 포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민선 8기 핵심 공약이며 항공요금 인상만으로 수요가 줄어든다는 논리는 맞지 않다는 주장도 있다.
경기도는 지난해 '경기국제공항 건설을 위한 비전 및 추진방안 수립 연구' 용역을 통해 화성시 화성호간척지, 평택시 서탄면, 이천시 모가면 등 3곳을 후보지로 선정했지만, 해당 지역에서는 이미 찬반 갈등이 표출되고 있다.
또 지난달 공모한 '경기국제공항 후보지 분석 및 배후지개발 전략 수립 연구' 용역은 응찰자가 없어 재공모에 들어가는 등 사업 추진에 차질을 빚고 있다.
[미디어펜=김연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