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이달 중순 G7 염두 조율 지속"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미국과 일본이 이달 중순께로 예상되는 정상회담 일정에 맞춰 3주간 관세·무역 협상을 벌였지만 끝내 입장을 조율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 미국과 일본이 이달 중순께로 예상되는 정상회담 일정에 맞춰 관세·무역 협상 합의점을 모색하기 위해 3주 연속 협의를 진행했지만 끝내 입장을 조율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상호관세를 발표하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연합뉴스 제공


7일 일본 교도통신 및 NHK 등의 보도에 따르면 양측은 미국 워싱턴DC에서 현지시간으로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이틀간 5차 관세 협상을 벌였지만, 끝내 합의점을 찾지 못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들 언론은 일본 측 각료의 발언을 인용해 이 같이 밝혔다. 

일본 측 관세 담당 각료인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은 협상 직후 취재진에 "일본과 미국의 입장을 다시 확인했고, 합의 실현을 위한 논의가 더 진전됐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일치점은 아직 찾지 못했다"고 말했다.

교도통신은 "일본과 미국 양측 주장에는 여전히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일본 정부가 추진하는 이달 중순 정상 간 관세협상의 일정부분 합의는 아직 전망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보도에 따르면 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은 오는 15∼17일 캐나다에서 개최되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릴 미일 정상회담을 염두에 두고 정력적으로 조율을 지속하기로 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상호관세, 품목별 관세 등 일련의 관세 조치 재검토를 요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은 "관세 조치가 재검토된다면 당연히 G7 정상회의까지 (합의를) 기다릴 생각이 없다"면서도 "G7 정상회의 시기까지 협상을 이어갈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향후 협상 일정에 대해 "정해진 것이 없다"고 말을 아꼈다.

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은 전날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과 회담했고, 이날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 러트닉 장관과 각각 관세 문제를 협의했다.

일본은 상호관세에서 일률적으로 부과한 10%에 더해 국가별로 차등해 추가 적용하는 관세(일본은 14%)만 협의할 수 있다는 미국을 설득하기 위해 각종 교섭카드를 제시한 바 있다. 

교섭카드로는 △농산물 수입 확대 △자동차 수입 제도 개선 △희토류, 액화천연가스(LNG), 반도체 협력 등을 묶은 '중국 대책 패키지' 등이 거론된다. 

이와 함께 그간의 입장을 수정해 미국 측에 자동차 관세 철폐 대신 인하를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