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보라 기자] 올해 1분기 보험사들의 건전성 지표인 지급여력비율이 급락해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MG손해보험, 롯데손해보험, 푸본현대생명, 동양생명 등 당국 권고치인 150% 이하로 낮아진 곳도 늘었다.

금융감독원이 17일 발표한 '2025년 3월말 기준 보험회사 지급여력비율 현황'에 따르면 3월말 경과조치 적용 후 보험회사의 지급여력 비율(K-ICS)은 197.9%로, 전 분기말(206.7%) 대비 8.7%포인트(p) 하락해 200% 아래로 떨어지면서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 보험사 지급여력비율 변동 추이./자료=금융감독원 제공


구 지급여력제도(RBC)에서 2023년 새 보험회계기준(IFRS17) 도입에 따라 보험사의 자산과 부채를 시가로 평가하는 새 지급여력제도(K-ICS)로 전환한 이후까지 지급여력비율이 200%를 하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생보사는 190.7%로 전 분기말 대비 12.7%p 내렸고, 손보사는 207.6%로 3.4%p 떨어졌다.

회사별로 보면 동양생명(127.2%), 푸본현대생명(145.5%), 롯데손보(119.9%), MG손보(-18.2%)가 감독기준인 150%를 하회했다.

대형 생보사들도 삼성생명(177.2%), 교보생명(186.8%), 한화생명(154.1%) 등의 지급여력 비율이 각각 7.7%p, 33.9%p, 9.7%p 급락했다. 대형 손보사는 삼성화재(266.6%), DB손보(204.7%), 현대해상(159.4%) 등은 각각 2.1%p, 1.6%p, 2.4%p 상승했지만, 메리츠화재(238.9%)와 KB손보(182.2%)는 각각 9.3%p, 4.3%p 떨어졌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리하락과 할인율 현실화에도 당기순이익과 자본증권 신규 발행으로 가용자본이 소폭 늘었지만, 장기 보장성 보험판매 등에 따른 요구자본이 더 많이 늘어나면서 지급여력비율이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말 경과조치 후 K-ICS 가용자본은 249조300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1조3000억원 늘었고, 요구자본은은 126조원으로 5조9000억원 증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최근 기준금리 인하 등에 따라 저금리 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금리하락에 대비한 자산부채(ALM) 관리 노력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면서 "자산 듀레이션 확대뿐 아니라 부채 듀레이션 축소 노력이 긴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자산부채(ALM) 관리가 미흡한 보험사를 중심으로 리스크관리를 강화할 수 있도록 철저히 감독할 계획이다.
[미디어펜=이보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