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서울지원 첫 출근…“부산 중심 국가성장 전략 필요”
해수부 기능·위상 강화 강조… “산업·해양정책 통합해 컨트롤타워 구축”
“HMM 매각만이 정답 아냐… 다양한 해운 생태계 대안 고민할 것”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는 25일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서울지원에 첫 출근하며 “북극항로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은 더 이상 늦출 수 없다”고 밝혔다.

   
▲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가 25일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서울지원으로 첫 출근을 하고 있다./사진=공동취재단


전 후보자는 이날 도어스테핑에서 “대민이 서울수도권 중심의 일극 체제로는 지속 가능한 성장을 담보할 수 없다”며 “해수부 부산 이전은 지역 균형발전을 넘어서 새로운 성장엔진을 장착하는 국가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 러시아, 일본, 중국이 이미 북극항로 선점을 위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며 “대민도 선도하려면 속도가 중요하다. 이를 위한 전략기지가 바로 부산이 돼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이어 “해수부와 해사법원, 금융기관, 경쟁력 있는 선사가 함께 집적돼야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재명 대통령이 연내 해수부 이전을 지시한 데 대해서는 “대통령께서 국무회의를 통해 두 차례나 말씀하신 만큼 강력한 의지를 반영한 것이라 생각한다”며 “해수부 구성원은 물론 인천, 충청, 전남 등 다양한 지역 의견을 듣고 소통하며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HMM 본사 이전과 민영화 가능성에 대해선 “북극항로 선도를 위한 전략 차원에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이전도 고려 대상이 될 수 있다”며 “다만 매각 문제는 해수부 단독 판단 사항이 아니고 채권단과 협의할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관치금융 시대에는 민영화가 경쟁력이라는 인식이 있었지만 싱가포르 테마섹 같은 다른 방식도 충분히 고민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단순히 해수부가 지금 모습 그대로 옮겨가는 것이 아니라, 산업정책과 해양정책을 아우르는 컨트롤타워로 재정비돼야 한다”며 “조선해양플랜트(산업부), 항만 배후 인프라(국토부), 유인도 정책(행안부) 등 분산된 해양 관련 기능을 해수부 중심으로 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법 개정 없이도 부처 간 협의로 기능 조정은 가능하다”며 “이제는 해양정책과 산업정책이 한몸으로 가야 한다는 문제의식이 있다”고 덧붙였다.

   
▲ 기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는 전 후보자./사진=공동취재단


해수부의 부총리급 격상이나 총리 직속 위원회 설치 필요성에 대해서도 “전적으로 동의한다”며 “범정부 차원의 북극항로 컨트롤타워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농해수위 경험 부족 지적에 대해선 “부산이 해양수산업으로 먹고 사는 도시인 만큼 지역 국회의원으로서 지난 9년간 관련 의정활동을 해왔다”며 “더 많이 공부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들으며 부족한 부분을 채워가겠다”고 답했다.

부산시장 출마설에는 “그럴 겨를이 없다. 지금 제게 주어진 과제는 대민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만드는 일”이라며 “실적과 성과로 평가받겠다”고 말했다.

끝으로 해수부 일부만 이전하는 방안에 대해선 “일부 남기고 일부 간다는 구상은 아니다”며 “전면 이전을 전제로 최적의 후보지를 고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