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부산항만공사(BPA)가 글로벌 해운항만 탈탄소 정책 변화에 대응해 ‘부산항 탄소중립 종합계획 수정 및 사업화 전략 수립’ 용역에 착수했다고 25일 밝혔다.
|
 |
|
▲ 부산항만공사가 24일, 부산항 탄소중립종합계획 수립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사진=BPA |
국제해사기구(IMO)는 해운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2008년 대비 ‘제로’ 수준으로 감축하는 탄소중립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2027년부터는 5000톤급 이상 선박에 탄소세를 부과하는 등 탈탄소 정책도 강화되고 있다.
BPA는 이 같은 대외 정책 변화에 발맞춰 △정부의 탄소중립 항만 기본계획 △글로벌 거점항만 전략 등을 반영한 부산항의 탄소중립 로드맵을 재정비할 계획이다.
특히 메탄올·LNG 등 친환경 선박 연료 도입이 확산됨에 따라, 벙커링 인프라 구축 방안과 신재생에너지 확보 전략을 함께 마련할 방침이다. 하역 장비의 무탄소 전환계획과 외부 온실가스 감축실적을 탄소배출권으로 인정받는 방안도 이번 용역에 포함됐다.
이와 함께 해조류·잘피 등 ‘블루카본’ 기반의 해양 탄소흡수 사업도 다각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BPA 송상근 사장은 “지금은 부산항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인프라와 전략 수립이 매우 중요한 시점”이라며 “부산항을 친환경 에너지 자립형 항만으로 조성해 지속가능한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