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연지 기자]올해 2∼3분기 채용 규모가 지난해보다 9.7% 줄어들 것으로 조사되면서, 구직자들의 취업 문턱이 한층 높아질 전망이다.
고용노동부가 26일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에 따르면 지난 4월 1일 기준 전국 사업체의 올해 2~3분기 채용계획 인원은 47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5만1000명(9.7%) 감소했다. 같은 기간 부족 인원도 46만9000명으로, 전년보다 5만2000명(10.0%) 줄었다.
'부족 인원'은 실제 채용 여부와 무관하게 사업체가 정상적인 운영을 위해 필요로 하는 인력을 의미한다.
산업별로는 제조업(부족 9만7000명·채용 9만5000명),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부족 6만명·채용 6만1000명), 도소매업(부족 5만7000명·채용 5만4000명), 숙박·음식점업(부족·채용 각 4만7000명) 순으로 부족 및 채용 수요가 컸다.
직종별로는 경영·행정·사무직(부족 6만5000명·채용 6만4000명), 영업·판매직(부족 5만1000명·채용 5만명), 음식 서비스직(부족·채용 각 4만6000명), 운전·운송직(부족 3만8000명·채용 3만9000명) 등이 주를 이뤘다.
규모별로 보면 300인 미만 사업체의 채용 계획이 41만9000명으로, 1년 전보다 11.4% 감소해 전체 감소세를 주도했다. 반면 300인 이상 사업체는 5만2000명을 채용할 계획으로, 6.0% 증가했다.
올해 1분기 기준 구인 규모는 140만2000명, 실제 채용 인원은 129만4000명으로 각각 2만1000명, 9000명 줄었다. 미충원율은 7.7%로 전년 동기보다 0.7%포인트 하락했다.
미충원 사유로는 '경력자 부족'이 25.6%로 가장 많았고, '임금 등 근로조건 불일치'가 20.6%로 뒤를 이었다.
김재훈 노동부 노동시장조사과장은 "이번 조사 결과에는 작년 12월 계엄 선포로 인한 영향이 어느 정도 반영됐을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이번 조사가 4월 기준이다 보니 새 정부 출범 이후 상황을 반영하고 있지 않다. 향후 개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연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