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정부가 의약품 개발 시 이뤄지는 동물 실험을 대체할 '첨단대체시험법' 개발에 나선다.
|
 |
|
▲ 사업 추진 체계./사진=산업부 |
산업통상자원부는 27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보건복지부 등과 함께 공동 지원하는 '첨단바이오의약품 비임상 유효성 평가 기술 및 제품 개발 사업' 성과 확산 협의체를 발족했다고 밝혔다.
그간 신약 후보 물질 개발 시 동물에 약물을 투여해 독성과 효능을 확인하는 '비임상 동물 실험'을 해 왔다. 이 실험에 대해 생명 윤리 차원 문제뿐만 아니라 동물과 인체 간 생물학적 차이로 인한 임상 실패 등에 대한 문제 제기가 지속적으로 있었다.
이에 대응해 세계 주요국은 비임상 동물 실험을 대체하기 위한 첨단대체시험법 개발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특히 미국의 경우, 지난 4월 식품의약국(FDA)이 비임상 동물 실험을 단계적으로 폐지할 계획을 발표했다. 국립보건원(NIH)은 첨단대체시험법을 정부 전략사업으로 선정해 10년간 최대 4000만 달러를 지원할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첨단대체시험법은 신약 개발 과정에서 필수적이었던 동물 실험에 제기되는 윤리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개발 중인 신약 후보 물질에 대한 인간의 생체 반응도 더 잘 예측할 수 있다. 또한 관련 글로벌 시장추이가 2023년 18억 달러에서 2032년 48억 달러로 전망되는 등 첨단바이오 분야의 미래 성장 유망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첨단바이오산업의 기술주도권 확보와 국내 바이오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첨단대체시험법 개발을 집중 지원한다.
산업부, 과기부, 복지부는 이날 발족한 협의체를 시작으로 첨단바이오의약품 비임상 유효성 평가 기술 및 제품 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해당 사업을 통해 ▲미세생리시스템 구축·검증용 원천 기술 개발 ▲기존 동물모델로는 구현하기 어려웠던 인체모사율 높은 미세생리시스템 및 평가법 개발 ▲비임상 평가 플랫폼소재·부품·소프트웨어 및 분석 장비 국산화 등 대체시험법에 적용 가능한 원천기술부터 핵심 소재·부품·장비 개발 등 전 주기 기술 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협의체 발족으로 첨단대체시험법 관련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국내 바이오 기업의 신약개발 관련 첨단대체시험법 신시장 창출 지원을 위해 적극 노력할 예정"이라고 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