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견희 기자]국내에서 반려동물을 기르는 인구가 전체의 약 30%에 달하지만, 반려동물들은 하루 평균 6시간 가까이 혼자 집에 남겨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양육비와 치료비는 매년 급증하고 있는 반면 반려동물보험 가입률은 여전히 저조해 제도적 장치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
 |
|
▲ 반려동물이 반려인과 함께 산책길에 나선 모습./사진=미디어펜DB |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29일 ‘2025 한국반려동물 보고서’를 발표하고, 2024년 말 기준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가 591만 가구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585만 가구)보다 6만 가구 늘어난 수치로, 전체 가구의 26.7%를 차지한다.
개인 기준으로 보면 반려동물을 기르는 인구는 1546만 명으로, 총인구의 29.9%에 해당한다. 반려동물 중 개를 키우는 가구가 455만 가구로 가장 많았고, 고양이를 기르는 가구는 137만 가구였다.
반려동물 양육 가구 10곳 중 8곳(80.1%)은 하루 중 일정 시간 이상 반려동물을 혼자 집에 두고 외출한다고 응답했다. 이때 반려동물이 홀로 있는 시간은 하루 평균 5시간 54분에 달했다.
양육비도 증가세를 보였다. 반려동물 가구의 월평균 양육비는 19만4000원으로, 2023년 조사 당시 15만4000원보다 4만 원(26%) 늘었다. 반려견을 기르는 경우 월 16만1000원, 반려묘는 14만2000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양육비 가운데 사료비가 35.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간식·건강보조식품(22.5%), 배변패드 등 일용품(10.6%), 미용비(8.7%)가 뒤를 이었다.
치료비 부담도 커지고 있다. 전체 반려동물 가구의 70.2%는 최근 2년간 치료 경험이 있다고 답했으며, 이들이 부담한 평균 치료비는 102만7000원으로 2023년(57만7000원) 대비 약 2배 수준으로 급등했다.
그러나 반려동물 보험 가입률은 여전히 12.8%에 그쳤다. 반려동물보험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제도 개선 과제로는 ‘진료비 표준수가제 도입’이 46.1%로 가장 많이 꼽혔다.
반려동물 양육의 어려움(복수응답)으로는 △여행 시 곤란(39.1%) △비용 부담(34.1%) △털·배설물 관리(33.9%) 등이 지적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반려동물을 기르며 ‘만족한다’는 응답은 76%로 높았고, ‘계속 키울 것’이라는 응답도 74.2%에 달했다. 반면, 타인에게 양육을 추천하겠다는 응답은 49.4%로 절반을 밑돌았다.
가장 많이 기르는 반려견 품종은 몰티즈(20.4%)와 푸들 순으로 나타났다. 반려묘의 경우 코리안숏헤어(44.7%)·러시안블루(12.8%)·페르시안(9.6%) 순으로 조사됐다.
[미디어펜=김견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