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박소윤 기자]최근 광역시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아파트 분양가 상승세가 빨라지면서, 합리적인 내 집 마련을 위한 전략적 접근이 중요해지고 있다.
|
 |
|
▲ 드파인 광안 메인 투시도./사진=SK에코플랜트 |
11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민간아파트 분양가격 동향' 자료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전국 분양가격지수는 220.9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6.8p포인트 오른 수치로, 2014년 분양가를 100으로 설정했을 때 11년 동안 120% 이상 분양가격이 상승했다는 의미다.
특히 최근 1년 사이 분양가격지수 상승세는 수도권과 광역시 등 인구 밀집 지역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수도권에서는 서울이 225.4로 1년 새 34.5p포인트 상승했으며, 인천도 176.6에서 182.2로 5.6p포인트 올랐다. 지방에서는 부산이 238.1로 11.2p포인트 상승했고, 경북도 196.3에서 214.1로 17.8p포인트 뛰었다. 부산 수영구, 해운대구 등 도심권 분양 증가가 주된 요인으로 분석된다.
향후 분양가 상승 흐름은 더욱 가팔라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말부터 30가구 이상 민간 공동주택에 제로에너지 건축물 5등급 설계가 의무화되면서, 공사비가 인상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업계는 가구당 공사비가 300만원 이상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같은 상황에 주택 수요자들은 신규 분양을 기다리기보다는 이전에 분양가가 확정된 단지로 눈을 돌리는 분위기다.
실제 인천 계양구 효성동에서 지난해 8월 공급된 '계양 롯데캐슬 파크시티'는 총 3053가구가 모두 계약을 마쳤다. 분양가 인상에 피로감을 느낀 실수요자들이 상대적으로 가격이 확정된 단지를 선택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지방에서도 유사한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부산 동래구 명륜동의 '동래사적공원 대광로제비앙'은 지난해 6월 분양 후 올해 3월까지 1025가구 전량 계약을 완료했다. 이어 전남 여수시에서 지난해 4월 분양된 '힐스테이트 죽림더프라우드'도 올해 4월 1272가구 모두 계약이 마무리됐다.
이런 흐름 속에 분양가가 비교적 합리적인 단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SK에코플랜트는 부산 수영구 광안동에서 '드파인 광안'을 선착순 분양 중이다. 총 1233가구 규모로, 전용 59㎡·78㎡·84㎡ 일부 가구가 남아 있다. 부산 2호선 광안역 도보 2분 거리의 초역세권 단지이며, 호암초·수영중·동아중 등이 인근에 있어 학세권 조건도 갖췄다.
인천 부평구 산곡1동에서는 효성중공업이 '해링턴 스퀘어 산곡역'을 분양 중이다. 총 2475가구 중 1248가구가 일반분양 물량이다. 7호선 산곡역 초역세권 입지로 강남권까지 1시간 내 접근이 가능하며, GTX-B(예정) 수혜지인 부평역도 차량으로 약 10분 거리다.
경북 포항시 대잠동에서는 현대엔지니어링과 포스코이앤씨 컨소시엄이 '힐스테이트 더샵 상생공원 1단지' 분양에 나섰다. 전용 84~178㎡, 총 999가구 규모로 조성되며, 1차 계약금 1000만 원·계약금 5% 정액제·중도금 무이자·발코니 확장 무상 등 다양한 혜택이 제공된다.
[미디어펜=박소윤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