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6개 카드사 자동차 할부금융 취급액 1조2690억원
[미디어펜=이보라 기자]정부에서 부동산 가격을 잡기 위해 강도높은 대출 규제를 시행하면서 카드론 영업마저 제동이 걸린 카드사들이 자동차할부와 법인 고객 유치 등을 확대하며 자동차할부금융에 더욱 집중할 전망이다.

1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6개 카드사(신한·KB국민·롯데·하나·우리·삼성카드)의 자동차 할부금융 취급액은 1조269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9% 증가했다.

   
▲ 사진=미디어펜 DB


카드사들의 자동차할부금융 취급액은 2022년 12월 말 5조8074억 원에서 2023년 12월 말 3조3088억 원으로 43% 급감한 후 지난해 12월 말 4조7109억 원으로 42.4% 증가하며 반등했다.

지난해 기준금리 인하로 여신전문금융채권 금리가 하락하면서 카드사들은 낮아진 조달금리를 바탕으로 자동차할부금융에 적극 나서고 있다. 또 카드사의 자동차할부금융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받지 않는다.

지난 1월 시행된 자동차 개별소비세(개소세) 인하도 자동차할부금융 취급액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기획재정부는 지난달 종료 예정이던 개소세 인하 조치를 올해 12월 말까지 6개월 더 연장하기로 했다.

그간 지속된 가맹점수수료 인하로 본업인 신용판매 부문에서 수익을 내기 어려워지면서 카드론을 통해 수익성 악화를 상쇄해오던 카드사들은 대출 규제로 이마저도 어렵게 되면서 자동차할부금융에 더욱 기댈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발표하면서 카드론도 신용대출 한도 규제에 포함하기로 했다. 카드론의 1인당 최대 한도가 5000만원 수준인 만큼 부동산 구매자금을 활용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금융당국은 수도권·규제지역 내 주택담보대출의 최대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고, 수도권 다주택자의 주담대를 전면 제한하는 내용 등을 포함한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지난달 27일 발표하고, 28일부터 시행했다.

이와 함께 신용대출 한도도 전 금융권을 합산해 차주의 연 소득 100% 이내에서만 가능하도록 제한했다. 기존에는 연 소득의 최대 2배까지 한도가 허용됐으나 신용대출을 활용한 주택 구입을 차단하기 위해 이 같은 조치를 꺼낸 것이다.

또 카드업계에서는 소상공인, 저신용자 등 취약차주의 급전창구로 통하는 카드론마저 막히면서 이들의 자금 융통이 어려워질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가맹점수수료 인하와 대출 규제 등의 올해 1분기에 이어 앞으로도 카드사의 실적은 더욱 나빠질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이에 자동차할부금융 확대 등 새로운 활로를 찾기 위한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카드업계 관계자는 "카드론 평균 대출 금액은 약 800만원 수준인데 카드론까지 규제한다는 것은 과도한 측면이 있다"며 "한도가 다 차버려 카드론을 이용하지 못하게 된 취약차주의 경우 불법사금융으로 내몰릴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보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