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는 17일 "모든 역량을 결집해 우리 경제의 버팀목인 수출과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
 |
|
▲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는 17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모든 역량을 결집해 우리 경제의 버팀목인 수출과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말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김 후보자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 모두발언을 통해 "우리 산업은 근본적인 패러다임 변화의 한복판에 서 있는 가운데,- 미 관세 조치,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으로 우리 수출을 견인하던 자유무역과 국제규범은 더 이상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후보자는 내달 1일 본격 시행 예정인 미 관세 조치 등에 대해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 확대 등 국익 극대화를 전제로 실용적인 통상정책을 전개하겠다"고 했다.
그는 "새로운 수출 시장과 품목을 개척하고 금융, 마케팅 등 수출 인프라를 대폭 확충하는 등 무역구조를 종합적으로 혁신해 수출 1조불 시대를 준비하겠다"며 "관련 부처와 지원기관, 업계 등이 모두 참여하는 '산업·무역 전략회의'로 전방위적인 지원 대책을 마련하고, 기업들의 수출과 투자가 확대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AI와 에너지 혁명 시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자는 "산업 현장에 AI를 대대적으로 접목·활용함으로써 산업 생산성과 부가가치를 근본적으로 높이고, 중견·중소기업까지 폭넓게 확산시키겠다"며 "AI반도체·휴머노이드 등 차세대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미래 혁신 기반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반도체·미래차 등 핵심 산업에서 글로벌 불확실성에 대응하고, 국내 투자·기술을 확충해 초격차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며 "석화·철강 등 공급과잉 산업은 신속한 사업 재편과 고부가 제품 전환을 통해 재도약 계기를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후보자는 친환경 에너지 중심 에너지 안보 확보와 탄소중립 실현 의사도 드러냈다.
그는 "입지, 전력망, 시장 제도 등을 개선해 재생에너지를 본격적으로 확대하고 그 과정에서 국내 산업 경쟁력이 강화되도록 하겠다"며 "에너지 가격 안정화, 탄소중립 달성, 글로벌 수출 등 산업 측면에서 중요성이 높은 원전도 안전성과 수용성을 바탕으로 착실히 추진하겠다"고 했다.
또 "에너지 고속도로 등 전력 인프라와 시스템을 혁신해 전력시장의 유연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고, 지역 간 전력 불균형도 해소해 나가겠다"면서 "에너지 가격 체계 마련과 에너지 복지 지원, 올 여름철 전력수급 문제도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약속했다.
아울러 5극 3특 초광역권 산업을 육성해 다극적 지역균형 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등 지역경제 생태계를 복원해 지역에도 공정한 성장 기회를 제공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김 후보자는 "RE100산단 조성, 과감한 규제 혁신과 인센티브 등을 통해 기업의 지방 투자를 촉진하고,
부처 협력으로 교육, 의료 등 정주 여건을 확충해 지역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에 실질적 성과를 내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