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용→가구용→보드용→에너지용 단계별 활용
소통간담회 개최, 재료 특성·사례 공유 등 인식 개선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산불 피해목 활용방안에 대한 논의와 현장 확인, 분석 등이 지속되고 있다.

이는 초대형 산불로 인해 쓰러지거나 고사한 나무들을 자원화해 건축재로 활용하기 위해 국산 목재 자급률 향상과 피해목의 활용 가치 증대를 목표로 한다.

   
▲ 강원도 평창군에서 올해 처음 시범 운영하는 국립목재집하장./사진=산림청


지난 4월부터 산림청과 지방자치단체, 한국임업진흥원, 산림조합중앙회, 학계 등 민·관·학 관계자들이 논의하고 현장에서 확인을 거치는 등 자원 순환 활용에 대해 다각적인 방법론을 도출하는 중이다.

17일에도 산림청은 산불 피해목의 효율적인 이용 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를 남부지방산림청 대강당에서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산림청, 지방자치단체, 목재산업 관계자 등 70여 명이 참석해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임상도 기반으로 분석한 산불 피해목 수확 가능량과 산불 피해목 이용을 위한 의사결정 흐름도를 공유했다. 

또한 산업계와 산불 피해목의 단계적 이용을 위한 방안과 애로사항 등을 토의했다.

산불 피해목의 단계적 이용은 건축용→가구용→보드용→에너지용 등으로, 특히 산불 피해목 중 불에 그을렸지만 내부 구조는 손상되지 않아 고부가가치로 이용가능한 목재는 건축용으로 우선 활용키로 하는 등 공공건축 자재 수급의 대안으로 떠올랐다.

앞서 산림청은 경북·경남·울산 지역 등의 산불로 10만4000㏊의 산림 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피해목 규모가 최소 600만㎥ 이상에 달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한해 우리나라 평균 벌채량(약 500만㎥)의 20%를 뛰어넘는 양이며, 올해 조림 계획 면적(2만㏊)의 5배가 넘는다. 또 막대한 피해목을 벌채한 후 이동, 저장, 유통할 방안도 문제다. 

때문에 산림청은 이번 긴급 추경을 통해 1500억 원의 예산을 신청했다. 이른 시일 내 피해목을 벌채·보관할 거점센터 5곳을 건설하고, 벌채목 이동을 위한 임도 등 인프라 확충에도 본격 나설 방침이다.

이날 논의에서는 업계 관계자들이 직접 산불 피해목의 상태를 확인하는 한편, 산불 피해목의 재료적인 특성과 산불 피해목을 이용한 목조건축 사례 등을 공유해 산불 피해목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는 시간도 가졌다,

박은식 산림청 산림산업정책국장은 “산불피해목도 불에 탄 수피(나무껍질)을 제외하면 일반 목재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며, “이번 토론회가 산불 피해목에 대한 오해를 풀고, 자원으로써의 활용도를 제고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