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인사청문회…관세·경력 이해충돌 등 도마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는 17일 "농축산물 시장 개방이 얼마나 민감한 이슈인지 충분히 인지하고 있다"며 "대미 관세 협상팀도 이를 유념해 관계 부처들과 충분히 의견을 나누며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가 17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김 후보자는 이날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관세 미국의 농산물 시장 개방 압박에 대한 허종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관세 협상에 직접 참여하고 있지는 않지만, 보고는 받고 있다"며 "모든 가능성이 열려 있는 참으로 엄중한 시기라는 인식을 갖고 있다"며 이같이 답했다.

그는 "처음 공무원을 시작해 우루과이 라운드 협상을 하면서 농민·축산민들이 얼마나 많은 어려움을 겪었는지 생생히 기억하고 있다"며 "우리 농민의 삶과 그런(시장 개방) 부분이 밀접히 연관돼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소고기와 쌀 등 주요 품목에 대한 미국의 요구를 이미 수용한 것이냐'는 질의에는 "그런 상황은 아니다. 지금 모든 어젠다들이 테이블 위에서 논의되고 있고, 어느 방향으로 갈지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협상 기한이 있지만 우리 국익을 지키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일준 국민의힘 의원의 '한미 관세 협상에서 조선 협력을 지렛대로 삼아야 한다'는 발언에는 "전적으로 동감한다"면서 "우리 조선업이 가지고 있는 제조 역량이 미국에는 없는 것이 있어 협업한다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원전이 주력 사업인 두산에너빌리티 사장 출신인 만큼 원전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는 "원전과 재생에너지가 같이 가야 한다는 신념을 갖고 있다"며 "원전은 에너지 가격 안정화와 탄소중립 달성, 글로벌 수출 등 산업 측면에서 중요성이 높고, 특히 인공지능(AI) 시대에 막대한 전원을 어떻게 확보할지를 생각하면 어느 정도 원전 역할이 불가피한 게 분명히 있다"고 말했다.

이어 "원전은 안전성과 수용성을 바탕으로 착실히 추진하겠다"면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이행 의지를 밝혔다.

그러면서 "재생에너지를 확대하는 부분도 굉장히 중요한 이슈"라며 "에너지 안보와 국가 안보에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라 생각한다"고 했다.

이날 청문회에서는 김 후보자가 직전 산업부 정책에 직접 영향을 받는 민간 기업 사장으로 근무하다 장관으로 지명된 만큼 이해충돌 우려도 도마에 올랐다.

김성원 국민의힘 의원은 "두산이 최근 10년간 산업부 산하 공공기관과 계약한 금액이 9조8172억 원"이라며 "두산에 있다가 장관으로 왔는데 지시를 안 해도 영향력을 끼칠 수 있다"고 꼬집었다. 

곽상언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두산이 산업부로부터 직접 261억 원의 예산을 지원받았고, 산업부 산하기관들과 다수의 계약도 체결한 것으로 확인된다"며 "두산그룹이라는 전 직장과의 이해관계에서 자유로운지 국민이 궁금해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같은 당 김한규 의원 또한 "두산은 해상풍력 분야에서 국내 과점 업체이고, 후보자 이력이 향후 불이익을 주거나 특혜를 줄 수 있다는 인식이 있다"며 "공식적으로 관여하지 않겠다는 선언과 의사 결정에서 완전히 빠지는 장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김 후보자는 "공직을 지내면서 나름대로 공정성과 청렴성을 갖고 살아왔다고 생각한다"며 "공직자에 취임한다면 책무와 윤리를 철저히 준수하도록 노력하고, 두산에너빌리티 관련 업무와 연관된 내용에는 직·간접적으로도 관여하지 않을 생각"이라고 답했다.

한편 산업부의 조선·해양플랜트 기능을 해양수산부로 이관하는 데 대해서는 "굉장히 신중해야 된다고 생각한다"며 선을 그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