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구태경 기자]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은 17일, 올해 우리나라 연근해의 정어리 자원이 지난해와 유사한 수준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어란 밀도와 전체 어획량은 늘었지만, 자원량 지표로 활용되는 어군 밀도와 환경DNA 농도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
|
▲ 국립수산과학원전경./사진=수과원 |
수과원이 올해 상반기 실시한 ‘융합탐지기술’ 기반 과학조사에 따르면, 정어리 어미 개체 유입은 전년보다 줄었으나 어란 밀도는 약 4배, 전체 어획량은 약 10% 증가했다. 반면 연안 어획량은 크게 줄며 대조를 보였다.
정어리의 주요 분포 해역인 남해안에서의 어군 평균 밀도는 제곱해리당 6.9에서 2.5로 약 40% 넘게 감소했고, 환경DNA 농도는 62.7에서 31.9 copy/ml로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그러나 연속어란채집기를 이용한 조사에서는 어란 출현 밀도가 1000㎥당 62개에서 258개로 급증했다. 수과원은 올해 4월 남해안 수온이 정어리의 산란 적정수온인 12~16℃ 범위로 형성된 점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어획 통계에서는 1~5월 정어리 전체 어획량이 전년 동기 대비 약 10% 증가한 1만 4028톤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연안선망 어획량은 3108톤에서 137톤으로 줄었고, 대형선망 어획량은 6040톤에서 1만 1667톤으로 크게 늘어 전체 증가를 견인했다.
최용석 수과원장은 “올해도 연안에서 정어리 무리가 꾸준히 포착되고 있다”며 “폐사체 발생 등 돌발상황에 대비하고 수산자원으로서 정어리의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