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계적인 탄소 배출량 관리·지속가능경영 위한 선제적 대응
[미디어펜=박준모 기자]두산이 자사 제품에 대한 탄소발자국 평가 솔루션을 구축, 검증을 마치면서 친환경 경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두산은 주요 제품인 동박적층판(CCL)에 대한 탄소발자국 평가 솔루션 ‘DOO LCA(전과정평가)’를 구축하고, 글로벌 온실가스 검증 전문 기관인 로이드인증원(LRQA)으로부터 제3자 검증을 완료했다고 31일 밝혔다. 

   
▲ ㈜두산의 주요 제품인 동박적층판(CCL)./사진=두산 제공


제3자 검증은 탄소발자국 산정 국제표준인 ‘ISO 14040:2006, ISO 14044:2006, ISO 14067:2018’을 기반으로 이뤄졌다.

이 솔루션은 원료 조달·제조·운송·사용·폐기 등 제품 생산 전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데이터화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회사 내 IT시스템과 연동돼 편의성이 높고 공정변화, CCL 제품 라인업 확대 등 다양한 조건에 따른 확장성도 고려해 설계됐다.

CCL은 인쇄회로기판(PCB)의 핵심소재로 반도체, 통신장비용 네트워크 보드, 모바일,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곳에 활용된다. 

㈜두산 관계자는 “제품의 탄소발자국을 측정하고 관련 솔루션을 구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면서 “‘DOO LCA’를 통해 제품의 탄소 배출량을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글로벌 IT 고객사의 지속가능경영 요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두산의 친환경 경영 노력은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먼저 사업장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재생에너지 도입을 확대하고 있다. 김제공장 내 태양광 자가발전 설비는 지난해 7월부터 12월까지 24만 3200kWh의 전력을 발전했다. 향후에도 신규 공장 건설 시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적용을 적극 검토할 방침이다. 

고객사의 친환경 제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전사 차원에서 친환경 사업 및 제품 확대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CCL의 경우 2035년까지 모든 제품을 100% 할로겐 프리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지속가능경영 전략을 기반으로 친환경 사업 및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를 연구개발의 주요 추진 방향으로 설정했다. 이러한 지속가능성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전기차 및 신재생 에너지 산업에서 친환경 소재와 관련된 사업 기회를 발굴하고 있다. 
[미디어펜=박준모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