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미국의 수입산 구리 제품 관세 50% 부과와 관련해 1일 오후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나성화 산업공급망정책관 주재로 구리 수출 업계와 긴급 영향 점검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
 |
|
▲ 산업통상자원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30일(현지 시간) 수입산 구리, 철강, 알루미늄 제품에 관세 50%를 부과하는 내용의 '무역확장법 232조' 포고문에 서명한 바 있다.
업계는 이번 미국 관세 50% 부과 조치에 대해 구리 제품은 동선, 동봉, 동관, 동박 등 품목이 다양하고 품목별 관세 영향이 상이해 일률적인 대응의 어려움을 강조하며, 국내 업계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부의 맞춤형 지원과 협조를 요청했다.
나성화 산업공급망정책관은 지난 2월 미국의 구리 행정명령 발표 이후, 4월 구리업계 의견을 수렴한 정부의견서를 미국에 제출하고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선도사업자로 구리 기업을 추가 지정하는 등 구리 기업들의 경쟁력 유지를 위한 그간의 정부 지원 방안을 설명했다.
나 정책관은 "미 관세 50% 부과 이후 미국향 수출 물량 감소는 불가피하지만, 구리 품목의 수출 다변화 및 국내 생산 지원을 통해 우리 업계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적극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미국 관세 시행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며 우리 업계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적극 대응하고, 비철금속 협회를 통합 창구로 지정하고 품목별 영향을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등 추가 지원 방안을 강구할 계획이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