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보라 기자] 금융위원회와 행정안전부는 부처 간 협업을 통해 오는 11일부터 ‘공공마이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금융·고용·복지 복합지원’ 서비스를 시행한다고 6일 밝혔다.

   
▲ 자료=금융위원회


이를 통해 연계 정확도 향상, 상담 시간 단축, 지원 사각지대 해소와 표준화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공공마이데이터 활용 맞춤형 복합지원은 서민금융진흥원(정책서민금융)·신용회복위원회(채무조정)가 상담 시 행안부가 제공한 공공마이데이터를 통해 확보한 고객의 공공정보 21종을 우선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고객에게 맞춤형으로 고용·복지 등 다양한 분야의 지원 정책을 연계하는 서비스다.

이전에는 정책서민금융·채무조정 상담직원이 주관적인 고객 진술 등에 의존해 복합지원을 제공해야 했으나 이번 개선으로 정보 보유기관에서 직접 확보한 객관적인 정보에 근거해 복합지원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공공마이데이터 활용 맞춤형 복합지원으로 주관적 진술이 아닌 객관적인 행정정보를 통한 분석 결과에 기반해 상담이 진행돼 연계의 정확성이 높아져 고객이 고용·복지 등 분야로 연계 이후 지원 대상자로 선정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또 서민금융·채무조정 상담직원이 21종의 정보를 한 번에 조회할 수 있어 복합지원 상담 시간이 단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에는 고객 본인이 지원받을 수 있다는 점을 모르거나 상담직원이 고객의 정보가 부족해서 인지하지 못했었던 지원 정책도 이제는 21종 정보 분석을 통해 자동으로 추천되기에 지원을 몰라서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가 해소될 전망이다.

아울러 복합지원 대상자 선별 기준이 표준화돼 고객이 언제·어디서·누구에게 상담을 받든 양질의 맞춤형 복합지원 서비스를 똑같이 누릴 수 있게 된다.

금융위·행안부 및 관계기관은 향후에도 타 부처 협업을 통한 신규 복합지원 연계 분야를 지속 발굴·확대해 신규 서비스의 활용을 극대화 및 고도화할 예정이다. 또 오는 27일에는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현장에 방문해 공공마이데이터 활용 맞춤형 복합지원을 직접 이용해 본 고객·상담직원의 의견을 청취하고, 추가 개선 필요 사항을 발굴할 계획이다.

[미디어펜=이보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