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을 위한 본격 논의가 시작됐다.
|
 |
|
▲ 차세대 분산형 전력망./사진=산업부 |
산업통상자원부는 8일 무역보험공사 대회의실에서 '차세대 전력망 추진단 1차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회의는 지난달 31일 대통령 주재 수석 보좌관 회의에서 논의된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의 신속한 추진을 위해 마련됐다.
앞서 정부는 지역별 전력수급 균형 도모와 변동성 자원인 재생에너지 확대 등을 위해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을 구축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이날 회의를 통해 기재부·과기부·국토부·국방부·농림축산식품부 등 정부 관계부처와 한국전력·전력거래소·에너지공단 등 유관기관, 업계‧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민관 합동 협력체제를 본격 가동한다.
차세대 전력망은 AI 기술로 전력 수급을 최적화하고 전력 수요지에 인접한 마이크로그리드 공급체계로 지역 내 에너지 생산·소비를 실현함으로써 계통 안정화와 송전선로 건설 부담을 완화하는 지능형 전력망이다. 대규모 시설 입지에 따른 지역 갈등을 최소화하면서 재생에너지 중심의 분산형 전력 공급에 적합하기 때문에 산업단지, 대학 캠퍼스, 공항, 군부대 등에 적용해 전력 사용 효율화와 전력 안보를 도모하는 게 전 세계적 추세다.
이번 1차 회의에서는 AI 기술 확산과 전기화로 전력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전력망 건설 수요가 대폭 늘고 있으나, 지역 수용성 확보를 위해 수요지 인근의 전력 공급체계인 분산 전력망이 현실적 대안이라는 데 뜻을 모았다. 또 정부와 에너지 공기업뿐 아니라 지역, 민간 협력으로 신속한 기술개발과 다양한 비즈니스 창출이 필요하고, 에너지 스타트업과 인재 육성 등 핵심 역량을 제고해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아울러 차세대 전력망 연관 기술과 산업 생태계 성장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신산업 육성에도 중점을 둬야 한다는 점이 강조됐다.
추진단 단장을 맡은 이호현 2차관은 "지금은 전자생존(電者生存), 즉 전기가 생존 조건인 시대로 더 저렴하고 깨끗한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려면 AI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전력망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에너지 산업 육성, 창업 인재양성, 지역경제 활성화 등 1석 3조 이상의 효과를 창출하도록 정부와 민간, 공공기관이 함께 힘을 합쳤으면 한다"고 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