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서동영 기자]정부가 국유지를 활용해 청년·서민들을 위한 공공주택 3만5000가구를 공급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기존 2만 가구에 성수동 경찰기마대부지 등 도심 노후 공공청사 등을 신규 발굴해 1만5000가구를 추가 공급하기로 했다.
|
 |
|
▲ 정부가 성수동 경찰기마대부지 등 국유지를 활용, 공공주택 3만5000가구를 공급하기로 했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
기획재정부는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7차 국유재산정책심의위원회’를 통해 이같은 내용의 2026년도 국유재산종합계획과 물납증권 가치 보호 방안 등을 심의·의결했다.
정부는 주택공급을 늘리기 위해 국유지·노후 공공청사를 활용해 공공주택 3만5000가구를 공급한다. 우선 기존에 계획됐던 공공주택 2만가구를 2035년까지 조기에 공급하기로 했다.
여기에 성수동 경찰기마대부지, 서울출입국관리사무소 등 30년 이상 된 도심 노후 공공청사와 역세권 유휴부지 등을 추가 발굴해 신규 공공주택 1만5000가구를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국유재산 복합개발을 통해 빠른 개발을 촉진하기로 했다. 관리주체가 다르다면 인접 국유재산을 공동 개발하는 ‘다수 관리주체 공동개발방식’을 도입하기로 했다.
개발계획에 대한 사전 경제성 분석 및 지자체 협의 등 제도개선도 함께 추진한다. 위탁개발기관의 범위에 캠코, 한국토지주택공사(LH)외에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 경기주택도시공사(GH) 등 지방공사까지 포함시켰다.
[미디어펜=서동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