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속원 주관 355억원 규모 ‘AI 전술개발·훈련용 모의 비행훈련체계’ 개발 완료
실제 공군 전술 반영 및 조종사 훈련데이터 학습 AI 가상항공기 성능 지속 향상
[미디어펜=박준모 기자]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국방과학연구소 산하 국방신속획득기술연구원 주관으로 355억 원 규모의 ‘AI 기반 전술개발·훈련용 모의비행훈련체계’ 개발을 완료하고, 신속원에 납품했다고 13일 밝혔다. 공군은 군 시범운용을 통해 성능을 확인하고, 개선점을 도출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개발을 계기로 KAI의 AI 사업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 AI 기반 전술개발 훈련용 모의비행훈련체계 시스템./사진=KAI 제공


이번 사업은 국내 최초로 강화학습 기반 AI를 적용한 훈련체계다. AI 가상항공기가 실제 전술 데이터를 학습해 스스로 전술을 발전시키는 ‘지속 발전형 훈련 환경’을 구현해 공군의 전술개발 역량을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KAI는 이번 개발에서 △AI 기반 가상항공기(아군·적군) 구현 △실제 전술을 반영한 고난도 시나리오 설계 △VR·MR 시각화 최적화 △국내 최대 규모 시뮬레이터 연동 △음성 명령 인식·응답 △모의 지휘통제(C2) 기능 등 다양한 첨단 기술을 적용했다. 

개발 과정에서는 ‘애자일 방식’을 도입해 초기부터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 실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했다.

그동안 공군은 훈련 공역 제한, 소음 민원, 유지·정비 비용, 안전 문제 등으로 대규모 전술 비행훈련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번 체계 도입으로 가상환경에서 실제 전투와 유사한 상황을 재현할 수 있어 다양한 전술개발과 훈련이 가능해지고 전투력 향상도 도모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번 사업을 통해 VR·MR 기반 KF-16·FA-50 전투기 레벨 D급 시뮬레이터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여기에 AI와 디지털 트윈 기술을 통합해 자사의 뛰어난 모델링·시뮬레이션(M&S) 역량을 입증했다.

KAI는 지난 24년간 7개국 20여 기종에 70여 대의 시뮬레이터를 납품하며 국내 1위 시뮬레이터 개발사로 자리매김했으며, 앞으로도 국내외 메타버스 훈련 및 M&S 시장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성과는 미래형 훈련체계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한 것”이라며 “향후 유·무인 복합체계와 합성전장훈련체계(LVC) 등 차세대 M&S 핵심 기술 개발을 주도해 우리 군의 미래 전력 구축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KAI는 AI를 활용한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유·무인 복합체계의 핵심 기술인 AI 파일럿, AI 기술 적용 첨단시뮬레이터 등이 대표적이다. 이번에 개발한 ‘AI 기반 전술개발·훈련용 모의비행훈련체계’ 역시 유·무인 복합 전력 개발의 핵심 기술로도 주목받고 있어 향후 AI 기술 구현의 교두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AI 파일럿과 초연결 기술을 중심으로 추진 중인 NACS 개발을 위해 지난해 1025억 원 투자를 결정했으며, AI·빅데이터 강소기업에도 투자를 확대하며 기술협력과 생태계 강화에 나서고 있다.
[미디어펜=박준모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