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보라 기자]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가 생산적 금융으로의 대전환을 위해 자금 흐름의 물꼬를 부동산이 아닌 미래 산업으로 빠르게 틀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이 후보자는 금융감독원의 관계에 대해 ‘원팀’임을 강조하며 유기적으로 연계해 협업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자는 14일 오전 서울 중구 예금보험공사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
 |
|
▲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가 14일 오전 서울 중구 예금보험공사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해 지명 소감을 밝히고 있다./사진=미디어펜 이보라 기자 |
이 후보자는 “한국경제가 여러 가지로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안으로는 서민경제와 거시적 상황이 매우 어렵고 밖으로는 관세전쟁, 인공지능(AI) 기술전쟁 등 각국 간 전면전이 벌어지고 있다. 구조적으로는 인구감소, 저성장 고착화, 양극화 등이 한국경제의 미래를 제약하고 있다”고 진단하며 생산적 금융 전환과 서민·소상공인을 위한 포용금융 강화를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그는 생산적 금융에 대해 “지금 한국금융의 현실을 보면 부동산이나 예금, 대출 위주로 돌아가고 있다”며 “사회 전체로 보면 생산성을 높이거나 혜택이 골고루 가기보다는 금융에 머물러있는 부분이 많은데 자금의 물꼬를 국가 경제에 공헌할 수 있도록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혁신적인 미래 산업 쪽으로 어떻게 빨리, 근본적으로 바꾸느냐가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또 “복합적으로 어려움이 중첩돼있는 다중위기를 극복하고 한국경제가 재도약하기 위해서는 어느 때보다도 금융의 역할이 중요하고 긴요한 시기인데 이런 때 중책을 맡게 돼 어깨가 무겁고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 혼신의 힘을 다해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이어 “서민과 소상공인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겠다. 치열한 문제의식을 갖고 개방적 자세로 변화를 이끌겠다”며 “생산적 금융 전환과 포용금융 강화, 건전한 자본시장 발전과 활성화 등 새 정부의 국정과제를 국민께서 체감하도록 속도감 있게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찬진 신임 금감원장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금융위와 금감원은 금융시장의 발전, 국정과제 수행 등에 있어 긴밀히 협조해야하고 원팀 정신으로 유기적으로 협업하는 관계”라며 “어제 이찬진 금감원장과 통화해서 이런 취지로 말씀을 드렸고 같은 취지로 공감을 하셨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정부의 금융감독 체계 개편과 관련해서는 “후보자 신분인 만큼 언급하지 않는데 적절하다”며 말을 아꼈다.
1967년생인 이 후보자는 서울 경신고와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주리주립대 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행정고시 35회로 공직에 입문했다.
1992년 재무부 관세국과 재정경제원 경제정책국을 시작으로 재정경제부 국제금융국을 거쳐 경제정책국 물가정책과장, 종합정책과장, 미래경제전략국 인력정책과장 등 거시경제 정책 핵심 보직을 두루 역임했다.
문재인 정부 시절 대통령비서실 경제정책비서관을 맡아 코로나19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각종 정책을 조율했다. 이후 기획재정부 1차관으로 승진해 균형 잡힌 업무 조정 능력을 바탕으로 한국판 뉴딜과 혁신성장 정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 경제 회복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 이 후보자는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경선 후보 시절 싱크탱크인 ‘성장과 통합’에 참여해 호흡을 맞춘 경험이 있는 만큼 생산적 금융 전환, 코스피 5000시대 도약 등 새 정부의 금융분야 핵심 국정과제를 빠르게 추진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미디어펜=이보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