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보라 기자] 서울 상위 0.1% 부동산 임대업자는 한 해 동안 평균 13억원을 벌어들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1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성훈 국민의힘 의원이 국세청에서 제출받은 종합소득세 신고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귀속 기준 서울에서 부동산 임대소득을 신고한 이는 36만370명이다.

이들의 총임대소득은 8조8522억원으로 집계됐다. 한 사람당 평균 임대소득은 2456만원인 셈이다. 전년(2408만원)보다 2.0%(48만원) 늘었다.

서울을 제외한 나머지 16개 시도의 평균 임대소득은 모두 2000만원을 밑돌았으며, 전국 평균은 1774만원으로 집계됐다.

서울 임대소득 상위 0.1%는 1인당 평균 12억9980만원을 신고했다. 2022년(12억8660만원)보다 1.0%(1320만원) 증가했다.

전국에서 가장 높을 뿐 아니라 전국 평균(7억1842만원)과 비교하면 약 6억원 높은 수준이다.

부산(5억3449만원)의 2.4배에 달했고 경북·경남·대전·충북 등과 비교하면 4배 이상 수준이었다.

상위 0.1%의 임대소득이 높은 지역은 서울에 이어 제주(6억8671만원), 경기(5억6466만원), 울산(4억7221만원) 순이었다.

반면 비교적 낮은 지역은 경남(2억8384만원), 경북(3억1485만원), 대전(3억1968만원), 충북(3억2090만원) 등이었다.

가장 낮은 곳은 세종(1112만원)과 전북(1116만원)이었다.

지난해 서울 집값이 더 크게 뛴 점을 고려하면 2024년 귀속분에는 지역별 양극화가 더 두드러질 가능성이 있다. 2024년 귀속 종합소득세 신고 통계는 올해 연말께 작성된다.

서울은 17개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무주택 가구 비율이 50%를 넘는다. 집값 상승으로 자가 주택 마련은 점점 힘들어지고 이들이 전월세 시장에 머물면서 임대업자 수익은 늘어난다는 해석이 나온다.

박성훈 의원은 "6·27 대출 규제 여파로 전셋값은 상승하고 매물 부족으로 임차인들은 월세로 떠밀리고 있다"며 "정부의 주택 공급 대책은 물론 월세 세액공제 강화 등 제도 보완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보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