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류준현 기자]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취임 후 가진 첫 임원회의에서 "다음 주 중요한 발표가 있을 수 있다"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잠잠해진듯 했던 조직개편이 예상보다 빨리 이뤄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와 관련해 금감원은 "조직개편 및 임원교체를 계획한 바 없다"며 공식 부인했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찬진 금감원장은 전날 임원회의에서 '다음주에 조직 구성원들에게 이야기할 일이 있을 수 있다' '놀랄 일이 있을 수 있다'는 등의 취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중요한 이야기를 하되, 내부에 의견을 구하겠다는 발언도 부연했다는 후문이다.
|
 |
|
▲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취임 후 가진 첫 임원회의에서 "다음 주 중요한 발표가 있을 수 있다"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잠잠해진 듯 했던 조직개편이 예상보다 빨리 이뤄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사진=금융감독원 제공 |
해당 발언을 두고 일각에서는 금감원에서 소비자보호처(소보처)를 분리하는 조직개편안 발표를 암시한 것이란 의견이 부상하고 있다.
그동안 국정기획위원회는 금융위원회가 금융감독정책만 맡는 '금융감독위원회'로, 금감위 아래 '금융감독원'과 '금융소비자보호원'을 배치하는 이른바 '소봉형' 감독체계를 논의한 바 있다. 아울러 금융산업정책·금융감독정책 기능을 기획재정부와 금융감독기구로 분리하고, 금융감독기구를 '금감위·금감원'과 자본시장에 대한 감독 등 행위규제업무 일체를 '금소위·금소원'으로 각각 배치하는 쌍봉형 체계도 물망에 오른 바 있다. 두 감독체계에 대해 금감원 노조는 수 차례에 걸쳐 반대의사를 표명한 상태다.
마침 이날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정부 조직개편안을 9월 국무회의에서 확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는데, 이 여파로 금감원 조직개편론에 더욱 힘이 실리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 원장이 국정기획위 사회1분과장으로 활약했던 만큼, 조직개편 관련 대통령실 분위기를 전달하며 이른바 '실세'로서의 존재감을 드러낸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감독체계 및 조직을 개편하기보다 이복현 전 금감원장의 임기 당시 임명된 임원을 교체하는 수준에서 그치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나온다. 통상 신임 원장이 취임하면 임원급을 상대로 사표를 받는 관례가 있는 까닭이다.
이와 관련해 금감원 관계자는 "소비자보호처를 분리하는 조직개편안이나 임원 교체안 발표를 계획한 바 없다"며 "특히 조직개편안의 경우 대통령실 등에서 추진하는 사항"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금융감독원은 소비자보호를 최우선의 가치로 해 금융상품 설계부터 판매 등 모든 일련의 과정에 대한 시장감시 역할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선해 나갈 예정"이라고 부연했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