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론 규제 과도…취약차주 불법사금융 몰릴 수도"
[미디어펜=이보라 기자] 6·27 가계대출 규제 도입 영향으로 지난달 카드론 잔액이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카드론을 갚지 못해 카드론을 빌린 카드사에 다시 대출받는 대환대출 잔액은 소폭 늘었다.

20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9개 카드사(롯데·BC·삼성·신한·우리·하나·현대·KB국민·NH농협카드)의 7월 말 카드론 잔액은 42조4878억원을 기록했다.

   
▲ 사진=미디어펜


이는 전월(42조5148억원) 대비 0.06%(269억원) 줄어든 수치다. 카드론 잔액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던 지난 2월(42조9888억원)에 비해서는 1.2%(5009억원) 줄었다.

카드론 잔액은 분기 말 부실채권 상각 효과로 소폭 감소했던 6월 말에 이어 2개월 연속 감소했다.

지난해 7월 6207억원, 8월 6043억원, 10월 5332억원 등 역대급 증가 폭을 기록하던 카드론 잔액은 지난 2월 5조원에 육박하며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후 3월 잠깐 주춤했던 카드론 잔액은 4월과 5월에 들어서자 다시 상승세를 이어갔다.

카드론은 담보나 보증 없이 비교적 간편한 절차로 대출받을 수 있는 상품으로 주로 생활자금이나 긴급자금 수요가 몰리는 불황형 대출로 분류된다. 평균금리는 10%대로 급전이 필요한 저신용자들이 주로 찾는다.

그러나 정부는 카드론의 1인당 최대 한도가 5000만원 수준인 만큼 부동산 구매자금을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카드론도 신용대출 한도 규제에 포함하기로 했다.

신용대출 한도는 전 금융권을 합산해 차주의 연 소득 100% 이내에서만 가능하도록 제한했다. 기존에는 연 소득의 최대 2배까지 한도가 허용됐으나 신용대출을 활용한 주택 구입을 차단하기 위해 이 같은 조치를 꺼낸 것이다.

카드론은 7월부터 시행된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에도 포함됐다.

현금서비스 잔액, 결제성 리볼빙 이월잔액 등도 전월보다 소폭 줄었다. 현금서비스 잔액은 6조2658억원, 결제성 리볼빙 이월잔액은 6조7872억원으로 각각 전월(6조3114억원, 6조8111억원)보다 소폭 감소했다.

다만 대환대출 잔액은 1조5282억원으로 전월(1조4284억원)보다 소폭 늘었다. 이에 대출규제로 추가 대출 여력이 사라진 취약차주가 대환대출을 이용한 사례가 늘어난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당분간 카드론 잔액이 감소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소상공인, 저신용자 등 취약차주의 급전창구로 통하는 카드론마저 막히면서 이들의 자금 융통이 어려워질 것에 대해서도 우려하고 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카드론 평균 대출 금액은 약 800만원 수준인데 카드론까지 규제하는 것은 과도한 측면이 있다”며 “카드사의 수익성 악화도 문제지만 더 큰 문제는 한도가 다 차버려 카드론을 이용하지 못하게 된 취약차주의 경우 불법사금융으로 내몰릴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이보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