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미미 기자] 유한킴벌리 BX본부에 근무하는 이지원님은 중고등학교 자녀들의 등교를 여유 있게 챙긴 후, 오전 10시 출근을 위해 판교 자택을 나선다. 자녀들의 하교를 챙겼을 때는 오전 8시에 출근하기도 했다.
브랜드 디자인&혁신 본부의 김해인님은 오전 8시부터 근무를 시작한다. 수원에서 롯데월드타워 소재 본사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러시아워를 피하고, 퇴근 이후 자기 계발도 겸해서다. 업무를 병행하며, 최근 대학원 석사과정까지 수료했다.
|
 |
|
▲ 9시 외 시간대 출근 비율/인포그래픽=유한킴벌리 제공 |
유한킴벌리는 본사 관리직 사원 중 9시外 출근자가 50%를 넘어섰다고 25일 밝혔다. 9시外 출근이 소위 ‘나인투식스 (9 to 6)’를 추월한 것은 1994년 관리직의 시차출퇴근제를 도입한 지 32년 만에 처음이다.
유한킴벌리 시차출퇴근제는 사원이 본인의 업무와 라이프 사이클을 고려해 오전 7시부터 10시 사이에 30분 단위로 출근 시간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제도로, 모두가 근무하는 오전 10시에서 오후 4시는 집중근무 시간으로 운영되고 있다.
2025년 7월 말을 기준으로 본사 시차출퇴근 현황을 분석한 결과, 통상 출근시간으로 여겨지는 9시 이외 시간대에 출근하는 사원이 51%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10년 주기로 살펴보면, 2005년 당시 9%에 불과했던 수치가 2015년에는 21%, 올해는 과반을 넘어섰다. 유연 근무가 구호가 아닌 문화로 자리매김 했음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
 |
|
▲ 출퇴근 시간대별 현황/인포그래픽=유한킴벌리 제공 |
시간대별 출근 현황을 살펴보면, 오전 9시(49%)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선호되는 시간대는 ▶8시(21%), ▶8시 30분(12%), ▶9시 30분(10%), ▶7시 30분(4%), ▶10시(3%), ▶7시(1%) 순이었다. 9시 전후로 비교하면, 9시 이전(38%) 출근 비율이 9시 이후(13%) 대비 약 3배에 달하고 있다. 좀 더 이른 출근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9시가 아닌 여타 시간 대에 출근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임신·육아가 41%로 가장 높았고, 뒤를 이어 ▶출퇴근 편의(32%), ▶효율적 업무 수행(15%), ▶자기 계발(5%)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유한킴벌리는 고도성장기를 지난 1990년대부터 평생학습 기반의 4조2교대, 시차출퇴근, 현장 출퇴근제 등 유연근무제를 시작했다. 이를 기반으로 수직적인 조직문화를 수평적인 문화로, 획일화된 효율보다는 창조성이 중시되는 문화를 만들었으며, 업무몰입 향상을 통해 장시간 근로를 없애고 질적인 변화를 가져왔다고 설명했다.
|
 |
|
▲ 9시 외 시간대 출근 사유/인포그래픽=유한킴벌리 제공 |
이러한 노력은 구성원으로 하여금 이른바 워라밸, 일과 삶의 조화를 중시하는 삶의 가치변화에도 큰 영향을 미쳤을 뿐 아니라 주 40시간 근무제, 코로나19, 디지털·AI 전환, 가치소비 트렌드 등 큰 사회, 경제적 전환기에도 경쟁력을 이어가며, 생활용품 대표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이 됐다고 유한킴벌리는 강조했다.
최근에 주목받는 있는 제도로는 재충전 휴가를 꼽을 수 있다. 2016년 시작된 재충전 휴가는 현재 매월 둘째, 넷째 금요일에 시행되고 있다. ‘재충전의 날’ 연간 계획을 전년도말 미리 고지하고, 몰입도 있게 함께 일하고 함께 쉬는 분위기를 만듦으로써 협업을 강화하며, 개개인의 휴가 일정을 미리 수립하기에도 용이하다. 특히, 격주로 주4일 근무에 준하는 경험을 할 수 있어 시대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재충전의 날에는 평균 60% 이상이 휴가를 내고 있고, 업무 연락 등을 최소화해 오롯이 쉴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유한킴벌리 EX부문 담당자는 “신뢰를 바탕으로 수평적이면서도 창의적인 기업문화를 구축함으로써 기업 경쟁력을 지속하고, 시대 변화에 맞는 조직 유연성을 확보해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유한킴벌리는 가족친화기업 인증제도가 처음 시행된 2008년도부터 해당 인증을 획득해 왔으며, 2022년에 가족친화 최고기업에 선정되기도 했다.
[미디어펜=이미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