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탈탄소 녹색전환 협력 방안 모색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환경부는 27일 서울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금한승 차관과 셀윈 하트 유엔 사무총장 기후행동 특보가 만나 기후위기 대응과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준비 현황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면담은 파리협정 이행과 탈탄소 녹색전환을 위한 국제 공조 강화 차원에서 이뤄졌다.

   
▲ 환경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양측은 기후위기 대응의 긴급성에 인식을 같이하고,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전환을 핵심 전략으로 공유했다. 금 차관은 △분산형 ‘재생에너지 100% 사용(RE100)’ 산업단지 조성 △가파도 탄소중립섬(Carbon Free Island) 시범사업 △전기차·배터리·히트펌프 등 기후 신산업 육성 및 산업 탈탄소 전환 지원 계획을 소개했다.

특히 금 차관은 단순히 도전적 수치를 제시하는 것을 넘어 실현 가능한 이행 경로를 고려해 책임 있는 목표를 수립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지난해 헌법재판소 결정 취지를 반영해 미래 세대에 과도한 부담을 전가하지 않으면서도 2050 탄소중립 비전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셀윈 하트 특보는 한국의 책임 있는 접근을 평가하며, 오는 11월 브라질에서 열리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 이전에 2035년 감축목표를 제출해줄 것을 요청했다. 또한 국제사회가 합의한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 용량 3배·에너지 효율 2배’ 목표 달성에도 한국의 기여를 당부했다.

금 차관은 “기후위기야 말로 인류사회가 직면한 실존적 위기”라며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대한민국이 탈탄소 녹색문명의 중심 국가로 도약하도록 선도적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