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부터 29일까지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에 참가
포스코홀딩스·포스코·포스코인터내셔널 통합 전시관 운영
[미디어펜=박준모 기자]포스코그룹이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에소 그룹의 탈탄소 비전과 탄소감축 기술 역량을 선보인다고 27일 밝혔다.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는 27일부터 사흘간 부산 벡스코(BEXCO)에서 개최된다. 정부 주요 부처가 공동 주최하는 국제 행사로, 올해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에너지 슈퍼위크’와 연계해 인공지능(AI) 시대가 가져올 미래 에너지 혁신 기술을 소개한다.

   
▲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에서 관람객들이 포스코그룹 통합 전시관을 둘러보고 있다./사진=포스코그룹 제공


올해로 참가 5회째를 맞이하는 포스코그룹은 포스코홀딩스·포스코·포스코인터내셔널이 통합 전시관을 운영한다.

포스코그룹 전시관은 △탈탄소 비전 △수소환원제철 △브릿지 기술 △인텔리전트 팩토리 △에너지전환 등 5개 존으로 구성된다. 전시관 가장 중앙에 위치한 탈탄소 비전 존에서 수소환원제철 기술부터 탄소감축 브릿지 기술, 에너지 전환에 이르는 포스코그룹의 탈탄소 전략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수소환원제철 존에서는 한국형 수소환원제철 기술 ‘하이렉스(HyREX)’를 소개한다. 한국형 수소환원제철 기술은 올해 6월 정부의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포스코그룹은 2030년까지 수소환원제철 상용화 기술 개발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하이렉스는 포스코가 보유한 파이넥스 유동환원로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기존 고로에서는 석탄을 통해 쇳물을 생산하면서 이산화탄소가 발생했으나 하이렉스에서는 수소를 활용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탄소중립에 대한 요구가 전 세계적으로 강해지고 있는 만큼 포스코의 미래 경쟁력을 책임질 핵심 기술로도 꼽힌다. 

브릿지 기술 존에서는 저탄소 연원료 활용·전기로 도입·CCUS(탄소포집·저장·활용) 실증 기술을 공개한다. 포스코는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광양제철소에 전기로를 건설 중에 있다. 전기로는 철스크랩(고철)을 녹여 쇳물을 생산하는 방식으로 철광석과 석탄을 통해 쇳물을 만드는 고로 방식보다 탄소배출량이 적다. 또 고철을 재활용한다는 점에서 전기로는 탄소 저감에 기여한다.

해당 전기로는 연간 250만 톤 규모로 내년 6월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기로가 완공되면 고로 방식 대비 연간 최대 350만 톤의 이산화탄소 감축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인텔리전트 팩토리 존에서는 AI 기반의 스마트 고로·지능형 로봇 활용 기술 등을 공개한다. 특히 작업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서 설비 점검을 하는 ‘4족 보행 로봇’을 직접 만나볼 수 있다.

그룹의 에너지·소재 사업 역량을 종합 소개하는 에너지 전환 존에서는 수소혼소발전소로 단계적 전환을 추진 중인 포스코인터내셔널 인천 LNG 복합 발전소를 소개한다. 또 포스코가 개발·공급하는 에너지저장장치(ESS)용 고내식 합금도금강판 포스맥(PosMAC), LNG·액화수소 탱크용 고망간강 등 다양한 에너지 강재도 전시한다.

포스코그룹은 탈탄소 전환을 그룹의 미래 성장 동력을 강화하는 전략적 기회로 인식하고 미래 경쟁력의 핵심으로 보고 있다. 이에 기술 개발, 설비 투자, 에너지 조달 등 전 과정에서 체계적인 탈탄소 전략 이행을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공고히 다져 나갈 계획이다.
[미디어펜=박준모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