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개포동 노후 아파트 갭투자 의혹, '전면 부인'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는 2일 금융위원회 존치와 관련해 "가정에 입각해 언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밝혔다. 당정은 오는 25일 국회 본회의에서 금융위 해체 등을 골자로 한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처리하겠다고 예고하고도 이날 예정대로 금융위원장 인사청문회를 진행했다.

   
▲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가 2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인사청문회에서 관계자와 이야기를 하고 있다.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이 후보자는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금융당국 개편안 질의에 대해 "확정됐거나 구체적 내용이 나온 것이 아닌데 가정에 기반해 언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금융위를 지키려는 소신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는 이양수 국민의힘 의원에 지적에 대해
"만약 내용이 공개되고 의견을 피력할 기회가 생기면 필요할 때 필요한 이야기를 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국정기획위원회는 금융위의 금융산업 정책 기능을 기획재정부로 이관하고, 금융감독 기능은 금감원과 일원화해 금융감독위원회를 신설하는 내용의 금융당국 조직개편안을 검토해 왔다. 정무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과 정부는 전날 금융위 해체 등을 골자로 한 경제부처 조직개편안을 놓고 당정협의회를 진행했다. 민주당은 오는 25일 해당 내용을 담은 정부조직법 개편안을 처리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후보자는 강남구 개포동 노후 아파트 갭투자 의혹에 대해선 전면 부인했다. 이 후보자는 '강남 재건축 아파트를 두 차례 매입해 시세 차익을 남겼는데 사전에 개발 정보를 입수한 적이 있느냐'는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전혀 없다"고 답했다.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위와 강남구청 등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 후보자는 개포동 주공아파트를 재건축 전인 2013년 7월에 매입했으나 직후 해외 파견을 나가 해당 아파트에 실거주하지 않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후 2020년 분담금 약 1억6000만원을 내고 125㎡ 평형의 새 아파트를 분양받았다. 시세 차익은 약 4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후보자는 "평생 집 한 채를 가지고 있다"며 "두 차례 집을 옮겼는데 해외에 나갈 때였고, 그동안 조금 더 모은 돈을 더해 형편에 맞게 옮긴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금 이 집에 살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 살 것이라고 평생 계속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코스피 5000 시대를 열겠다는 이 정부에서 금융당국 수장이 될 사람이 국장이 아닌 미국 증시에 집중 투자하고 있는 모양새가 좋지 않다'는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의 지적에 대해선 "시장 경험 차원에서 투자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는 "공직 생활 동안에는 주식을 잘못했다"며 "(공직에) 나와서 시장을 경험하면서 주식시장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답변했다.

이 후보자가 정무위에 제출한 인사청문 서면답변에 따르면, 이 후보자의 주식과 펀드 투자액은 총 7126만원이다. 국내 증시 투자의 경우 상장지수펀드(ETF) 상품에 대한 투자 비중이 높았다. 국내주식은 두산에너빌리티, 나머지는 스트래티지, 테슬라, 엔비디아 등 미국 우량주에 투자했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