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회 농림위성 활용기술 공동학술대회, 4~5일 제주서 개최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농촌진흥청과 국립산림과학원은 4일부터 5일까지 제주 오션스위츠 호텔에서 ‘제3회 농림위성 활용기술 공동학술대회’를 열고 위성 발사 준비 상황과 향후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 이승돈 농촌진흥청장이 4일 제주시에서 열린 '제3회 농림위성 활용기술개발 공동학술대회‘에 참석해 환영사를 하고 있다./사진=농촌진흥청


올해로 3회째를 맞는 이번 학술대회는 2026년 발사가 예정된 농림위성(차세대 중형위성 4호)의 영상처리 핵심기술 개발 현황을 점검하고 발사 이후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 활용을 위한 협력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에는 관련 기관, 대학, 민간기업 등 약 70명의 연구진이 참석한다. 대회는 총 8개 분과로 진행되며 △농업위성센터·국가산림위성정보활용센터 현황 △정밀기하보정·정사·지형보정 △정밀 대기보정 알고리즘 △양방향반사도분포함수(BRDF) 보정 △분석준비데이터(ARD) 생산체계 △식생지수 생성기술 △지상국 시스템 구축 △재난·생태계 모니터링 기술 등이 발표될 예정이다.

또한 발사 이후 위성 운영의 핵심 기반이 될 지상국 시스템 구축 현황과 데이터 수신·전처리·배포 체계, 다중위성·드론·기상자료 융복합 활용 전략, 해외 적용 사례도 다뤄진다. 이를 통해 농업·산림 정책과 영농 현장에서 실효성 있는 의사결정 지원 방안을 모색한다.

이승돈 농진청장은 “이번 학술대회는 관계기관과 연구진이 함께 쌓아온 성과를 확인하는 자리”라며 “발사 이후 농업과 산림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위성 운영 체계를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농림위성은 국내 최초의 농업·산림 전용 관측 위성으로, 5m급 해상도의 광학 센서와 5개 다중 스펙트럼 밴드를 탑재했다. 120km 폭의 관측 범위로 3일 만에 전국 촬영이 가능하며, 농작물 면적·작황 분석, 농경지 이용 변화, 재해 피해 분석 등 기후변화 대응과 농업 수급 관리에 활용될 예정이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