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금융지주, 내년까지 총 95조원 지원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조치로 인한 국내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금융권이 팔을 걷어부쳤다. 

   
▲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조치로 인한 국내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금융권이 팔을 걷어부쳤다./사진=김상문 기자


5일 금융위원회 및 금융권에 따르면, 미 관세위기에 대응해 5대 금융지주는 내년까지 총 95조원을 지원하며, 연초부터 약 45조원을 공급했다. 이들 지주의 금융지원 상품은 금리부담 경감, 수출·공급망 지원, 혁신성장 지원, 대기업 상생 대출 등 다양하게 구성돼 있다.

주요 상품으로는 '유망성장산업, 제조업 중소법인 대상 특별 금리 우대', '신기보, 지역보증 특별출연을 통한 대출 지원', '현대·기아차 협력사 대출지원'(이상 KB금융), 미래혁신산업 '중소기업 혁신성장' 지원대출,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산업단지 전용 신상품(이상 신한금융), 자동차 산업 수출경쟁력 강화 프로그램(하나금융), 수출기업 등 유동성 공급 및 금융비용 경감(우리금융), 소부장 등 중소·중견기업 P-CBO 발행확대, 관세피해 대기업 협력업체 금리우대(이상 농협금융) 등이 있다.

하나금융은 관세부과 조치로 피해가 예상되는 중소·중견기업 등에 대해 총 30조원 규모의 금융 지원에 나선다. 하나은행은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긴급 유동성 지원을 위해 23조2000억원 규모의 자금을 공급한다. 특판 상품 16조원으로에 더해 3조원 규모의 '고정금리 우대 대출'과 2조원 규모의 '신속 지원 특별 프로그램'을 추가 공급한다. 수출 중소·중견기업에 대해서는 7000억원 규모의 '2차 수출 패키지 우대 금융'을 지속 공급하고, 수출입 핵심 성장 산업을 위한 4조원 규모 우대금융도 지원한다.

관세부과로 큰 피해가 예상되는 자동차 업계를 위해서는 300억원 규모의 금융지원과 함께 현대차·기아 협력업체의 수출 공급망 확대를 위해 6300억원 규모의 무역보험공사 보증부 대출도 공급하기로 했다. 신성장·유망 창업 기업에는 1조7000억원 규모의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 보증부 대출을 지원한다. 소상공인을 대상으로는 우대 금리가 적용되는 9000억원 규모의 '행복 플러스 소호대출' 공급과 저신용 소상공인 대상 지역보증재단 보증부 대출 1조300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IBK기업은행은 총 1조원 규모의 특화 대출상품인 'IBK관세피해기업 지원대출'을 출시한다. 이번 상품은 국제 통상환경 변화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중견기업에 긴급 유동성을 공급하고 조기 경영 안정화를 위해 마련됐다. 대상은 미국의 관세부과로 피해를 입은 중소·중견기업 중 대미 직·간접 수출 및 수입기업과 국내외로 생산기지를 이전하는 기업이다. 기업은행은 기업당 최대 200억원 이내에서 운전·시설자금을 지원하고 대출 금리를 최대 1.5%포인트(p)까지 감면할 계획이다.

앞서 기업은행은 지난 4월부터 '관세피해 관련 금융애로 상담창구'를 운영해 지난 7월 말까지 총 1만3093개 기업을 상담했다. 이중 직·간접 피해가 있는 952개 기업에 대해 신규 자금지원과 금리인하 등 총 301건의 애로사항을 해소했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통상환경 변화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의 경영애로 해소를 위해 특화상품을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중소기업의 위기대응과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