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연지 기자]미국 조지아주 합작 배터리 공장에서 불법체류자 단속으로 협력사 인력을 포함해 300여 명이 구금된 가운데, LG에너지솔루션 최고인사책임자(CHO)가 현지 대응을 위해 급히 미국으로 향했다. 구금자 조기 석방을 위한 전방위 노력이 본격화되는 양상이다.
7일 업계에 따르면 김기수 LG에너지솔루션 CHO(전무)는 이날 오전 인천국제공항에서 출국하며 "지금은 우리 LG에너지솔루션 직원들과 협력업체 직원들 모두의 신속한 조기 석방이 최우선"이라며 "정부에서도 총력을 다해서 대응해 주시고 있는 만큼 모두의 안전하고 신속한 복귀를 위해서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현지 대응 계획이나 구금자들의 상태에 대해서는 구체적 언급을 피했다.
|
 |
|
▲ 김기수 LG에너지솔루션 인사최고책임자가 7일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에서 조지아주 합작 배터리 공장 불법체류자 단속 사태와 관련해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취재진에 입장을 밝히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제공 |
앞서 4일(현지시간)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 국토안보수사국(HSI) 등은 조지아주 서배나에 위치한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대대적인 불법체류자 단속을 벌여 LG에너지솔루션 소속 47명(한국인 46명·인도네시아인 1명)과 협력사 인력 250여 명을 구금했다. 외교당국은 한국인 300여 명이 포함됐다고 확인했으며, 현대차 직접 고용 인력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날 "구금자들의 비상 연락망 통해 가족들에게 정기복용 약품 등을 파악 중이고, 필요 의약품이 구금자들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요청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국 정부도 외교 채널을 가동해 주미대사관과 주애틀랜타총영사관을 중심으로 구금자와의 접촉을 요청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번 사태와 관련해 "미국의 법 집행 과정에서 우리 국민의 권익과 대미 투자 기업의 경제활동이 부당하게 침해돼선 안 된다"며 "주미대사관과 주애틀랜타총영사관을 중심으로 사안의 신속한 해결을 위해 총력 대응하라"고 지시했다.
[미디어펜=김연지 기자]
▶다른기사보기